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차점을 줄여라! 벽돌공장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0호
- 수가 홀수인지 다항식 시간에 알 수 있다면 P=NP가 돼, 다른 어려운 모든 NP-난해 문제도 모두 다항식 시간에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심지어 임의의 소수 에 대해 최소 교차점 수가 p의 배수인지 결정하는 문제 또한 NP-난해라고 합니다. 이처럼 어려운 상황에도 수학에 대한 열정을 잃지 않은 ... ...
- 황윤섭 경희대 입학처장 - “잠재력과 가능성이 최우선 기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학생은 네오르네상스전형과 고교연계전형, 두 전형에 동시에 지원할 수 있다. 또 두 전형 모두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이 없다. 황 입학처장은 “학생들이 가능성을 마음껏 펼칠 수 있도록 최대한 제약을 줄였다”며 “다만 고교연계전형에 지원하려면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야 하며, 학교별로 추천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재학생 인터뷰] 우리가 바로 대한민국의 미래 에너지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평가자의 눈에 띄는 글을 쓰고 싶어비평을 담았다”고 말했다. 또 자신이 했던 활동을 모두 담으려고 애쓰기보다는 항목별로 주제를 적절히 분배해 자기소개서가 정돈된 느낌을 주도록 작성하려고 노력했다.입시 과정에서 가장 큰 위기는 구술면접에서 찾아왔다. 면접관들 앞에서 문제를 푸는데, ... ...
- Part 1. [사건의 발생] 재활용 업체, 쓰레기 수거 거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수거해 갔던 거죠.반면 단독주택과 빌라가 많은 동네는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 모두 시나 구 단위의 지자체에서 처리 및 관리하고 있어요. 그래서 재활용 쓰레기의 처리 비용이 조금 더 들어도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했던 거예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재활용 쓰레기 ... ...
- Part 3. 수학 문제도 컴퓨팅 사고력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처음으로 돌아오는 최소 비용의 이동 방법을 구하는 겁니다. 수학자와 컴퓨터 과학자 모두 마을의 수가 무한히 많을 때의 해결법과 알고리듬 처리 속도 개선을 위해 연구하는 것이지요. 프로그래머도 관심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배달 회사의 경우 최대한 많은 집에 최소 시간과 비용으로 배달할 ... ...
- [엔씨소프트와 함께하는 수학동아 게임카페] 슈퍼마리오를 내 손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슝슝 피하고 아이템은 쏙쏙 먹으며 레벨업하는 플랫폼 게임 주인공처럼, 참가한 학생 모두 한 단계 성장한 기회가 됐길 바랍니다. 다음 주인공이 되고 싶다고요? 그럼 겨울 게임카페에 꼭 도전하세요! 참가자들이 직접 말하는, 수학 게임에 이렇게 쓰였다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대푯값 편수학동아 l2018년 09호
- 필요가 없지요.1, 2, 2, 3, 3처럼 가장 많이 등장한 숫자가 두 개(2, 3)면 이때는 2와 3이 모두 최빈값입니다. 결국 최빈값은 경우에 따라 없을 수도 있고 무척 많을 수도 있는 거예요! 대표는 늘 부담스럽다!상황에 따라 대푯값을 무엇으로 할지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어떤 상황에서 대푯값을 ... ...
- [에디터 노트] ‘보통의 여름’을 위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작은 아이는 2010년생 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을 제외하고 10위 안에 들어가는 해는 모두 2000년대다(2005년, 2009년, 2010년, 2013년, 2014년). 우리 아이들은 태어나서 지금까지 거의 매년 여름 폭염을 경험한 셈이다. 어쩌면 한 여름 이정도 더위는 당연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금세기 말까지 지구 ... ...
- 美中 무역전쟁, 왜 하필 지금일까?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때문이다. 이러한 수출 핵심 국가들이 만일 전방위적인 무역전쟁을 벌여 두 나라 경기가 모두 침체될 경우, 한국도 피해를 면할 수 없는 입장이라 할 수 있다. 적어도 중간선거까지는 계속 마음 불편한 시기를 경험하게 될 것 같다 ... ...
- Part 4. 음악의 표준이 통치의 표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들어서면서 관계가 끊어졌습니다. 길이와 무게, 부피 등을 정의하는 현재의 도량형은 모두 서양의 표준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길이의 표준으로 쓰고 있는 m(미터)의 경우, ‘빛이 2억9979만2458분의 1초 동안 진공 속에서 이동하는 거리’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조선의 도량형과 유사점이 있다면 ... ...
이전2772782792802812822832842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