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통과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빛의 통과가 중요한 눈에는 혈관이 없는 부위가 많다. 맨 처음 빛을 받아들이는 각막, 빛을 모으는 오목렌즈 역할을 하는 수정체, 그 빛이 하나의 초점으로 모여 상이 맺히는 황반에는 혈관이 없다. 특히 황반은 망막 중에서도 시세포가 가장 많이 밀집돼 있어 상을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전자가 ‘이기적’인지 살펴보자. 인간은 유전자의 생존 기계‘이기적 유전자’를 처음 읽은 뒤 평정심을 유지하기는 어렵다. 동요하고 경탄하는 한편 좌절하거나 불쾌하고 더 나아가 분노하게 된다. 실제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를 읽은 독자들의 다양한 반응을 소개했다. 어떤 사람은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정치국제관계학과 교수가 이렇게 말했다. 그는 1980년대 후반 빅 히스토리 개념을 처음 만든 창시자다. 빅 히스토리는 13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게다가 수평선 너머 멀리서 다가오는 배는 처음부터 전체 모습이 보여야 해요. 처음에는 아주 작아 보이다가 다가올수록 점점 크게 보여야 하지요. 하지만 실제로 수평선에서 다가오는 배는 돛대부터 서서히 보인답니다.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증거가 너무나도 많지만 평평한 지구학회에서는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탐사차목표시기: 2020년(1단계)발사체: 한국형발사체(KSLV-Ⅱ)특징: 첫 도전 한국도 2020년 처음으로 달에 궤도선을 보낸다. 한국의 달 탐사는 편의상 1단계와 2단계로 나뉜다. 1단계는 시험용 달 궤도선을 보내는 것이고, 2단계는 궤도선과 착륙선을 개발해 자체 개발한 발사체로 달에 보내는 것이다.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2006년,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생체시계를 조절하는 후보 유전자 ‘cg4857’을 처음 발굴했다. cg4857에 변형을 가하자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RNA에서 번역이 제대로 일어나지 못하면서 생체시계의 주기인 24시간이 26~27시간으로 늘어났다. 임 교수는 “RNA가 번역된다는 뜻은 리보핵산(RNA)에서 단백질이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일으키며 생겨났다는 이론이다. 지금은 우주 탄생을 가장 잘 설명하는 이론이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특히 이론으로만 예측됐던 우주배경복사를 실제로 관측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가 모두 거의 같은 온도였던 것이다. 사람이 많이 모인 ... ...
- [게임카페] 하고 싶은 게임, 스스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끝나고 난 뒤에 스물세 명의 학생은 작품을 발표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컨스트럭트2를 처음 다뤄봤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모두 완벽히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게임카페에서는 직접 기획한 게임이 실제 게임으로 만들어지는 과정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게임카페에서 ... ...
- [과학뉴스] 이것이 지구 최초의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씨앗을 간직하는 속씨식물로 진화했다. 최근 프랑스와 오스트리아 과학자들은 지구에 처음 나타난 꽃의 모습을 추정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8월 1일자에 발표했다. 에르베 소케 프랑스 파리쉬드대 생태학, 형태학및진화연구실 교수와 마리아 본 발타자르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다우드나 UC버클리 교수팀이 2012년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한 연구는 처음으로 크리스퍼-캐스9(CRISPR-Cas9, 이하 크리스퍼)이라는 효소를 이용해서 DNA 절단에 성공했다는 내용이었다. 이는 오로지 시험관에서만 진행한 실험이었다(doi:10.1126/science.1225829). 반면 2013년 1월 ... ...
이전2762772782792802812822832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