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모음곡(Arrhythmia Suite)’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올해 브리티시 사이언스 페스티벌에서
처음
공개했다. 건강한 사람은 심장이 ‘두근 두근(ba-domp ba-domp)’ 규칙적으로 뛴다. 반면 부정맥 환자는 심박 리듬이 불규칙하다. 츄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부정맥은 리듬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데 최종 합의를 봤다. 플랑크 상수에 대해 전세계 기관의 합의가 이뤄진 건 이번이
처음
이다. 단위자문위원회는 이번에 논의한 플랑크 상수를 10월에 열린 국제도량형위원회(CIPM)에 올렸다. 내년 6월 CIPM에서 한 번 더 검토를 마치면 2018년 제26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 플랑크 상수값을 확정할 것을 ... ...
[Culture] 알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텔레파시로 이미 많은 이야기를 나눈 상태였다. 누군가와 텔레파시로 대화하는 것은
처음
이라 내가 좀 서툴긴 했지만 말이다. 멀린은 내 계획에 찬성했다. 나는 메데이아에게도 말을 걸었다. 그녀는 자유만큼이나 악몽에서 벗어날 가능성에도 마음이 흔들렸다. 나는 그녀의 악몽이 죄책감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뿌남 쟌두’는 “오늘 수업에 참여하려고 1시간을 걸어 학교에 왔다”며 “실험수업은
처음
이라 정말 재미 있었다”고 말했답니다.동아사이언스 기자들의 이 활동은 7월 20일까지 다음 스토리펀딩에서 자세히 볼 수 있어요. ‘1여행 1드림 프로젝트’로, 한 번 여행을 떠날 때마다 한 번의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기술 콘퍼런스 ‘이그나이트 2017’에서 양자컴퓨터에 적용할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처음
공개했다. 그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양자컴퓨터 양쪽에서 모두 작동하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주얼 스튜디오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작동하는 통합 개발 환경으로, ... ...
Part 2. 슈퍼맨의 히트비전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kW급 레이저 100개면 미사일 요격그러면 다시
처음
으로 돌아가 10kW급 소형 레이저를 개발해 슈퍼맨처럼 눈으로 레이저를 쏜다고 가정해보자. 조금 억지스럽지만, 광섬유 레이저 장치가 구글글래스 크기로 극도로 소형화됐다고 생각해보자. 사람의 눈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치료법을 찾는 데 활용하고 있다. 결핵균을 예로 들어 보자. 결핵치료제는 1950년대
처음
개발됐는데, 이후 약에 내성을 가진 결핵균이 나타났다. 반면 수백 년 된 미라에는 약에 대한 내성이 없는 ‘순수한’ 결핵균만 남아 있다. 서 교수는 “결핵치료제가 개발되기 훨씬 전의 순수한 결핵균과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異極石)이라는 광물과 구분되기 전까지는 ‘이극광’으로 불렸는데, 1802년에 이극광을
처음
발견한 사람이 바로 스미스슨이다. 스미스소니언 박물관과 능아연석스미스슨은 프랑스 태생이지만 국적은 아버지의 나라인 영국이다. 옥스퍼드대에서 화학과 광물학을 전공한 그는 대학을 졸업하고 1년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확률적으로 바꾸는 게 유리하다는 게 수학적으로 밝혀져 있어요.
처음
선택한 문을 바꾸지 않을 때 슈퍼카가 있는 문을 선택할 확률은 1/3이지만, 선택을 바꾸면 확률은 2/3로 커져요. 그래서 흔히 ‘몬티 홀 딜레마’라고 부릅니다. 정수남매: 아하! 하지만 확률일 뿐이니까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물질을 들어본 적 있나요?1874년
처음
만들어진 DDT는 1939년 스위스의 파울 헤르만 뮐러가 살충제로써 효과가 있다는 것을 증명한 이후로 전세계에 널리 사용됐어요.하지만 곤충은 살충제에 점점 내성을 가졌어요. 게다가 DDT는 매우 안정해서 동물의 몸속에서 분해되지 않고 축적됐지요. 이런 살충제의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