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른 점이 있다면 지자기의 행동은 반드시 자의로 저지르는 짓이라는 점이다. 적어도
외부
로부터의 물리적 압력이나 영향을 받은 타의(他意)의 증거는 없는 것이 확실하다.특히 해저암석에 기록된 지자장의 변화를 세밀히 연구한 결과, 약 2억년 전에는 모두 한 덩어리로 있었던 대륙이 그후 뿔뿔이 ... ...
인간의 눈을 흉내낸 망막소자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인간'을 넘보고 있는 것이다. '망막소자'도 이러한 시도의 일종이다.우리는 눈을 통해
외부
세계를 감지한다. 눈의 가장 안쪽에 자리잡은 망막은 자연의 빛을 뇌가 그림으로써 이해가능하게끔 신경신호로 변환시켜준다.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으려면 망막이 슈퍼컴퓨터보다도 뛰어나야 한다. 그런데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시야속에서 뚜렷이 모습을 드러낸다. 2′ 크기의 희미한 빛막대같은 이 거대 별무리는,
외부
은하들이 가스구름이 아닌 무수한 별들의 집합체임을 증명하고 있다.M31의 보다 객관적인 관찰은 적어도 30㎝ 구경 이상의 망원경이 필요하다. 또한 나선팔을 인식하려면 소형 망원경으로는 불충분하다.M31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데(불안정한 상태)서 낮은 데(안정한 상태)로 돌아가려 한다. 만일 대기를 움직이는 모든
외부
적 내부적 조건들이 오랜 시간동안 일정하게 주어진다면 대기는 그 주어진 조건에 맞는 상태로 접근, 결국 그 조건에 잘 맞는 기후를 형성할 것이다. 이때 우리는 대기가 주어진 조건에 맞는 평형상태에 ... ...
1%만 절약하면 제주도에서 2년 쓴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냉장고의 개발을 유도했다. 절전형 냉장고의 개발은 초기에는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외부
열에 의해 손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열기술 개선 등에 집중됐으나 최근에는 핵심부품인 압축기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 80년대 초기의 매월 소비전력 40kWh 수준(용량 1백75ℓ 기준)에서 지금은 절반수준인 2 ... ...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한계 내에서의 다양성과 변이는 흔히 관찰되고 있지만 각 개체가 갖고 있는 유전자는
외부
환경에 의해 쉽사리 변하지 않는다. 이 점을 놓고 본다면 생물은 처음부터 설계되고 만들어졌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인 견해다.고도의 능력을 보여주는 캄브리아기 화석만일 종에서 종으로 바뀌어 1백50만종에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수 있겠는가." 건설부의 한 판다 연구가의 말이다.동물원의 돈벌이올해 들어 워롱지역은
외부
연구가들에게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했다. 쳉두 동물원도 이번 봄에 처음으로 짝짓기를 위해 숫놈판다를 연구소에 보내줬다. 이나마도 예전에 비해서는 나아진 것이지만 변화는 아직 이 지역에 그치고 ... ...
고집적반도체 기능 높이는 연구 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설계당시에 회로의 기본기능뿐 아니라, 회로 자체적으로 시험하는 기능을 함께 만들어
외부
의 도움없이 자체적으로 시험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집적회로의 일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빌틴 셀프 테스트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으며, 출력 비교를 간단히 하기 위해 여러가지 콤프레스 ... ...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바람. 행성상 성운고온의 적색거성이 그 중심핵으로부터의 복사압력을 이기지 못해
외부
층을 날려버리고 백색왜성으로 수축할 때 방출한 가스의 껍질로 이루어진 성운. 이것을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원반모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행성상 성운이라 불린다. 대개 1광년 이하의 지름을 갖고 있으며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감광소자에는 화상정보가 전하의 모양으로 쌓이게 된다.이런 전하를 덩어리째 고스란히
외부
로 들어낼 수 있다면 화상정보를 훼손없이 옮길 수 있는 것이다. CCD를 전하결합소자라고 부르는 것도 바로 그런 이유에서다. 하나하나의 감광소자는 이를테면 눈의 시세포이며 CCD는 시신경이라고 할 수 ... ...
이전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2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