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계속해서 움직이려면 고정자의 극을 그와 반대되는 것으로 바꿔줘야 하는데 이때
외부
로부터 전기유입이 필요하며 그 전달은 정류자(brush)를 통해 이뤄진다. 그러나 전기가 흐르다보니 필연적으로 스파크가 생기고 구조상 소음도 커서 극도의 신뢰성이 요구되는 군사무기 등에는 이 모터를 대체할 ... ...
햇볕없는 곳에서도 신나게 달리는 태양 에너지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주행중 여분의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거나 야간이나 햇빛이 없는 날에 도로를 달릴 때
외부
로부터 전기를 충전받기 위해 달고 다닌다.그러므로 쓸만한 태양에너지자동차를 제작하려면 태양광전지의 개발 뿐만아니라 효율이 큰 배터리의 개발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 모터는 전기에너지를 ... ...
브라질 원주민 야노마미족 옛집 되찾아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경계선 지역이므로 1급군사지역이라는 이유로 불하를 반대해 왔다.그러나 대통령은
외부
로부터 군부 못지않은 압력을 받았다. 즉 내년에 리오데자네이로에서 열리는 지구회의(Earth Comission)에서 열대우림과 야노마미족을 보호하지않은 자신들의 처사가 맹렬히 규탄될 것임에 틀림없었기 때문이다.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팽윤된 후 두부와 같은 겔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물을 흡수하고
외부
에서 힘을 가하면 금방 물을 방출하는 스폰지와는 성격이 확연히 구분된다.고흡수성 신소재는 이미 위생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아기기저귀, 여성용 생리용품, 수술용 매트 및 붕대 등이 그것이다.최근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빛을 투광하면 수중부유물에 의하여 난반사되므로 시계가 불량하게 된다.수중에서는
외부
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없으며, 더구나 배기가스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디젤기관과 같은 동력을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우주선과 같이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없다. 대개 수상선박에서 충전된 ... ...
물고기 생태 이용해 활어회 즐긴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물고기들의 체온이 얼지않은 상태로도 0℃이하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들은
외부
의 온도가 생명을 위협하지 않을만큼 높아지면 다시 체온을 올린다. 그러나 이렇게 체온이 낮게 유지되는 기간은 며칠 혹은 몇주에 그칠 뿐이다.흡사 마취와 같아보이는 이 자연스런 겨울잠 현상에 착안해 ... ...
유전자 조작된 동물의 젖에서 단백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꼭 필요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물론 이 동물은 범상한 동물이 아니다.
외부
로부터 인위적으로 이질적인 유전자를 받은, 즉 일부 유전자가 조작된 동물이다. 현재 염소 소 산양 등을 대상으로 이같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데 성과가 좋아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유전공학적으로 ... ...
생물체도 비약을 통해 진화된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구속이 아주 작을 때의 진행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열이
외부
세계로 증발될 것이다. 그런 후 평형상태로 될 것이다. 만일 온도의 차를 증가시켜(△T증가) 평형상태의 계를 제거하면 임계온도차라 부르는 △T에서 갑자기 물질이 부피운동을 시작한다. 이 운동은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구사한 무서운 기업은 소니다. 소니는 자사의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핵심부품을 절대
외부
에 맡기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가전제품 내부의 반도체와 컴퓨터까지 스스로 만들어쓰고 있을 정도다. "신소재는 시장이 없다"신소재를 일본에서는 이렇게 정의한다. 첫째 원료가 전혀 새로운 것, ... ...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초신성 25개 정도의 밝기면 우리 은하 전체가 내는 빛과 맞먹는 것이다. 초신성의 폭발한
외부
층은 우주 속으로 빠른 속도로 퍼져 나가서 지금의 게성운을 만들었다. 게성운이란 이름은 19세기 아일랜드의 천문학자 로드로제(Lord Rosse)가 그 모습이 게의 집게발을 닮았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