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2016.07.23
- 종종 듣게 된다. 혹은 그들의 갈등이 팽팽한 긴장감까지는 표출되지 않더라도 마치 타인인 양 서로 무관심하거나 그만도 못해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를 어렵지 않게 발견하곤 한다. 그렇듯 형제자매끼리 불편한 관계가 되기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쩌면 형제자매끼리는 친밀해지기보다는 ...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2016.07.19
- 기쁨을 좀 더 장기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의외의 사실이지만, 자기 자신보다 ‘타인’을 위해서 돈을 쓸 때 더 높은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들이 관찰된다고 한다. 같은 가방도 자신을 위해서 살 때보다 아픈 아이들을 위한 기부 목적으로 살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끼는 현상이 관찰되었다고 ... ...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2016.07.05
- 사실이다. 하지만 합리화의 대상이 비도덕적이거나 부조리한 일인 경우, 또 합리화를 ‘타인에게’까지 강요하는 상황인 경우라면 ‘좋은 게 좋은 거지’라는 태도를 벗어나 조금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 참고문헌 Laurin, K., Shepherd, S., & Kay, A. C. (2010). Restricted emigration, system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것, 건강한 자존감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현실적인 수준을 기대할 것, 또 타인의 인정을 지나치게 갈구하는 것에서 조금 벗어나 내적 중심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것들을 기억해보자. ※ 참고문헌 Bushman, B. J., & Baumeister, R. F. (1998). Threatened egot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말이다. 그런데 보톡스를 맞아 얼굴 근육이 약간 마비되는 게(그 결과 주름이 펴진다) 왜 타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능력을 손상시키는 부작용을 낳은 것일까. 펜을 입술로 물고 있으면 이로 물로 있을 때보다 코믹한 카툰이 덜 재미있게 느껴진다는 연구결과는 체화된 인지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 ...
- 다른 사람은 나에 대해 얼마나 신경쓰고 있을까?2016.05.03
- 사실을 받아들이되 2) ‘지나치게’ 의식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 또한 인식할 것 3) 그리고 타인의 의견을 들을 경우 걸러 들을 것, 기억해 보자. ※ 참고문헌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7, 497-529. Cacioppo, ... ...
- 잔인한 말로 가하는 충격 요법, 다이어트에 정말 효과있을까?2016.04.26
- 높았다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우리는 사회적인 동물이다. ‘타인의 시선’, 주변 사람들로부터의 긍정적인 평가를 위해서라면 하기 싫은 일도 좋은 척, 성격에 맞지 않지만 전혀 다른 사람인 척 연기를 하며 살아가기도 하는 동물들이다. 이런 우리들에게 쉽게 돌이키기 ...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2016.03.29
- 자신의 Altruistic joy(스스로의 이타적 생각/행동에서 오는 즐거움)에서 벗어나 냉정하게, 타인의 관점에서 그들을 어떻게 돕는게 좋을지 생각해 보라고 조언하기도 했다. ‘이성’이 필요할 때다. ● 하나인 우리는 강하다? ‘우리는 하나다!’라는 메세지는 그 자체로 위험할 수 있다. 그 자체로 ... ...
- 한 번 등돌린 사람, 다시 친해질 수 있을까2016.01.26
- 대한 성장론적인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게 어느 정도의 성장 가능성이 있듯이 타인에게도 발전의 여지가 있고 인간관계 또한 그럴 가능성, 한 번 믿어보면 어떨까? ※ 필자소개 지뇽뇽.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과학적인 심리학 연구 결과를 보고하는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 ...
- 서운한 마음 표현하는 게 좋을까?2016.01.20
- 따른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약 70%의 사람들이 실험자의 지시에 따라 생전 처음 보는 타인(실은 연기자였다!)을 죽을 지경까지 전기고문 했다. 그러고 보면 참,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대단하지만 한편으론 제약도 많은 그런 동물이다. 여하튼 이렇게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갈등을 싫어한다 ... ...
이전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