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2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2017.07.05
- 외면 발화 그 이상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퍼나이휴는 “우리가 대화를 내면화할 때 타인을 내면화하는 것”이라며 “우리 뇌는 목소리로 가득차 있다”고 쓰고 있다. 이처럼 문제를 해결해야 하거나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할 때, 즉 창조적인 행위를 할 때 많은 사람들이 혼자 있기를 바라는 ...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2017.07.01
- 우리 모두 그런 응원을 받을 수 있다면 삶이 훨씬 따듯하게 느껴지지 않을까? 나에게도 타인에게도 따듯함을 허락하자. ※ 참고문헌 Batson, C. D., Fultz, J., & Schoenrade, P. A. (1987). Distress and empathy: Two qualitatively distinct vicarious emotions with different motivational consequences. Journal of Personality, 55, 19-39. Neff, K. D., & ... ...
- 면접 전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2017.06.17
- 강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비슷하게 자신의 문제로 고민할 때 이 문제가 타인, 예컨대 나랑 친한 친구 A의 문제라면 나는 그에게 무슨 말을 해 줄 것인지 내 안에서 한 발짝 떨어져서 생각해 보는 것 또한 문제를 객관적으로 바라 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는 연구도 있었다. 생각해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드높이려고만 했던 태도를 조금 버릴 때 다른 중요한 것들이 보이고 진정으로 나와 타인을 사랑할 수 있게 되는 게 아닐까? ※ 참고문헌 Bai, Y., Maruskin, L. A., Chen, S., Gordon, A. M., Stellar, J. E., McNeil, G. D., ... & Keltner, D. (2017). Awe, the diminished self, and collective engagement: Universals and cultural variations in the small ... ...
- 당신이 틀린걸 인정할 때 자존심이 상하나요?2017.06.03
- 전문적인 글과 비전문적인 글을 신뢰하는 정도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나도 타인도 사람이라면 누구나 잘못 알 수 있고 틀릴 수 있음을 받아들이는 지적 겸손을 갖는다면, 또 누군가 틀렸다고 해서 조롱하지 않는 문화를 만든다면 의견의 다름으로 인해 사람을 배척하거나 잘못된 의견을 ... ...
- 영웅적인 행동도 여성이 하면 과소평가 된다?2017.05.27
- 한 장기기증에서는 성차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여성과 남성 모두 동등하게 타인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히어로가 될 자질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았다. 한편 연구자들도 지적한 바 아직 사회에선 겁이 없고(daring), 모험적(adventurous)이며 용감한(courageous) 특성은 모두 여성보다는 남성과 ... ...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발견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뭔가를 요청했을 때 타인이 응할 확률에 대해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무거운 걸 10분여 거리까지 함께 운반해달라는 요청이나, 급해서 그런데 잠시 핸드폰 빌릴 수 있겠냐는 비교적 있을 법한 요청부터 그냥 장난치고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아무도 없어’라고 단정짓고 만다.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타인의 사랑까지 가짜라고 평가절하하게 만드는 것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듯 사람들 사이에는 거대한 강이 있어서 상대가 귤을 던졌는데 내가 그걸 탱자로 받으면 결과는 탱자인 것이다. 이렇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힘을 기르는 것, 또 내 몸은 온전히 내가 통제하듯 타인의 몸에 대한 통제권 역시 온전히 타인에게 있음을 존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이렇게 어렸을 때부터의 교육을 통해 성폭력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다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큼 스스로에게 너그러울 줄 아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에게도 너그러울 줄 아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나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또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을 용서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보자. ※ 참고문헌 Abramson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