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타인"(으)로 총 2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은 ‘거절당할 용기’가 있나요? 2017.05.21
- 발견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제로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뭔가를 요청했을 때 타인이 응할 확률에 대해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무거운 걸 10분여 거리까지 함께 운반해달라는 요청이나, 급해서 그런데 잠시 핸드폰 빌릴 수 있겠냐는 비교적 있을 법한 요청부터 그냥 장난치고 ...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2017.05.13
- 아무도 없어’라고 단정짓고 만다.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타인의 사랑까지 가짜라고 평가절하하게 만드는 것이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듯 사람들 사이에는 거대한 강이 있어서 상대가 귤을 던졌는데 내가 그걸 탱자로 받으면 결과는 탱자인 것이다. 이렇게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힘을 기르는 것, 또 내 몸은 온전히 내가 통제하듯 타인의 몸에 대한 통제권 역시 온전히 타인에게 있음을 존중할 수 있게 되는 것이 교육의 목표이다. 이렇게 어렸을 때부터의 교육을 통해 성폭력을 얼마나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중이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사람들은 다 ...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2017.04.01
-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큼 스스로에게 너그러울 줄 아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에게도 너그러울 줄 아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나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또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자신을 용서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 보자. ※ 참고문헌 Abramson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결과로 이어진 행동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될 것 같아 안타깝다. 나 자신은 물론 타인의 행동도 웬만하면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는 관용을 보여야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2017.03.12
- 때는 매력적인 여성과의 섹스는 나의 ‘권리’라는 생각으로 나타나고, 또 어떨 때는 타인을 통제함으로써 권력감을 공고히 하기 위한 수단으로 나타나는 등 구체적으로 권력 ‘행사’ 또는 권력 ‘추구’(또는 둘 다)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권력을 가지게 되었을 때 권력을 휘두르고 ...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부를 일이 되는 사회다. 우리 가족, 친구 등 내집단 사람들에게는 잘 하지만 그렇지 않은 타인은 배척하거나 별로 신경쓰지 않는 정도가 큰 사회이다. 한국 사회의 도덕성 회복에는 '우리가 남이다', ‘집단 위에 사람있다’ 등 집단/주변의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문화,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보인다고 한다 (Wiltermuth & Cohen, 2014). 자신의 부족함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게 될까봐, 또 타인을 실망시킬까봐 두렵기 때문이다. ● 발목을 잡을까 두려워 아예 협력을 피한다 연구자들은 참가자들에게 어려운 과제를 할 것이라고 알렸다. 그리고 과제를 혼자 하거나 아니면 해당 과제에 전문성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바빠 죽겠는데, 남을 도우라고?2016.12.27
- ‘자존감’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심리학자 애크닌(Aknin)과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타인’을 위해 돈을 쓰면 기분이 좋아질 뿐 아니라 심지어 ‘자기 자신’을 위해 돈을 쓸 때보다 기분이 좋은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리고 ‘곳간에서 인심난다’는 류의 이야기와 달리 이런 현상은 돈 많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 교육에 대한 관점을 근본적으로 바꾼 제롬 브루너2016.12.23
- “내러티브에 대한 민감성이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세계 속에서 자아와 타인의 마음을 잇는 주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고 주장했다. 브루너는 “인간은 ‘이야기하는 동물(Home narraticus)’이다. 자신의 삶을 통일된 이야기로 구성할 수 있는 사람이 훌륭한 인간”이라며 “교육은 자신의 ... ...
이전21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