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를 두 바퀴나 걸었네…상아로 밝혀낸 험난한 알래스카 털매머드의 삶
동아사이언스
l
2021.08.13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종들의 기후에 따른 이동 패턴과 범위를 살펴볼 수 있어
멸종
된 종의 삶을 찾는 호기심 이상을 만족시킨다고 밝혔다. 울러 교수는 “북극은 현재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며 “우리는 과거를 사용해 현재와 미래에 살 종의 미래를 알 수 있다”고 말했다. 매튜 울러 ... ...
공룡 대
멸종
때 동식물 75% 사라졌지만 상어는 큰 피해 안 봐
연합뉴스
l
2021.08.11
바다 파충류 잡아먹는 포식종만 선택적
멸종
…경골어류 먹이 상어종 번성 [Benjamin Kear, Bazzi M et. al, PLOS Biology, 2021 제공/ 재판매 및 DB 금 ... 지금보다 10배 이상 많았지만 약 1천900만년 전 70%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하면서, 공룡대
멸종
때의 두 배에 달하는 개체수 감소가 있었다고 밝혔다. ... ...
실험용 생쥐 정자 우편으로 쉽게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6
미수정 난자에 집어넣는 세포질 내 정자 주입술(ICSI)을 써야 한다”며 “ISS 실험이나
멸종
위기종 개체 수 증식 등 특별한 경우에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남극 황제펭귄도
멸종
위기종 지정…지구온난화로 2100년 서식지 98% 사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전부터 황제펭귄 개체 수 감소를 주의 깊게 봐 왔다”며 “황제펭귄은 기후변화로 종이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극지연구소도 남극 장보고과학기지 인근 황제펭귄 서식지인 케이프 워싱턴 등 두 곳에서 매년 황제펭귄 개체 수를 조사하고 있다. 이들 ... ...
[프리미엄 리포트]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07.17
총 3종으로 미국 남쪽 지역에서 발견된다. 과거에는 19년 주기의 매미도 있었으나
멸종
됐다고 알려져 있다. 매미 유충이 땅속의 양분으로 버틸 수 있는 최대 기간이 19년보다 짧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각각의 브루드 주기매미는 태어나는 해와 장소만 다를 뿐, 생물학적으로 다른 매미는 아니다. 예를 ... ...
[잠깐과학] ‘공룡’이라는 이름 지은 리처드 오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17
1824년 영국의 지질학자 윌리엄 버클랜드는 날카로운 이빨이 박힌 아래턱 화석을
멸종
된 고대 파충류의 것으로 생각하고 ‘메갈로사우루스’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곧 이구아노돈, 힐라이오사우루스 등 다른 화석도 발견됐습니다. 이 세 표본에서 공통점을 발견한 사람은 리처드 ... ...
'아마존의 비명'…동식물 1만여종
멸종
위기·탄소 배출원 전락
연합뉴스
l
2021.07.15
위원회'(SPA)는 아마존 우림의 계속된 파괴로 토착 식물 8천여 종과 동물 2천300여 종이
멸종
고위험에 처해 있다는 첫 보고서를 14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아마존 유역의 숲 18%가 개간과 불법 벌목 등으로 이미 파괴됐으며 17%는 황폐해져 숲 기능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했다. 또 현재 아마존 토양과 ... ...
고대 지구에 1천500만년에 한 번꼴로 공룡대
멸종
급 소행성 충돌
연합뉴스
l
2021.07.09
이는 약 6천600만 년 전 지금의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칙술루브 충돌구를 만들며 공룡 대
멸종
을 초래한 것과 같은 지름 10㎞ 이상의 큰 소행성이 약 1천500만년에 한 번꼴로 지구와 충돌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일부 소행성이 도시크기만한 것부터 작은 주(州)에 달할 정도로 컸을 ... ...
소행성 충돌 1000만 년 전부터 공룡
멸종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멕시코 유카탄 반도 인근에 소행성이 충돌하면서 공룡이
멸종
했다는 ‘소행성 충돌설’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올해 2월에는 소행성 충돌로 생긴 착술루브 충돌구에서 채취한 암석 시료에서 이리듐 성분이 확인되면서 소행성 충돌설에 더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리듐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모 네쉐르 라믈라 발견, 네안데르탈인 기원 흔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밝혔다. 지금까지 네안데르탈인은 35만 년 전 유럽에 처음 나타났고 2만 4000년 전
멸종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호모 네쉐르 라믈라에 네안데르탈인의 특성이 나타난 만큼 네안데르탈인 중 일부는 레반트 지역에서 유럽으로 넘어갔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허스코비츠 교수는 “새 발견 이전에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