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메탄이 이렇게 문제일 줄이야
2022.01.12
시한폭탄이고 온실가스 감축에 속도를 내야 폭발을 막을 수 있다. ‘최종 경고: 6도의
멸종
’ 3장에서 라이너스는 “온난화 상승치가 3도일 경우, 오늘날 총 1500만㎢의 면적 가운데 1200만㎢가 바다로 녹는데 전 세계 영구동토층의 거의 4분의 3이 온난화에 따라 곤죽처럼 녹아버릴 것이다”라며 ... ...
폭 1㎞ 소행성 19일 오전 지구 근접 통과…충돌 가능성은 없어
연합뉴스
l
2022.01.12
프로젝트인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을 진행 중이다. 이는 6천600만년 전 공룡 대
멸종
과 같은 소행성 충돌 참사를 막기 위한 지구 방어 전략의 일환이다. NASA의 DART 우주선은 작년 10월 21일 발사됐으며 올해 9월 지구 근접 소행성 '디디모스'(Didymos)를 돌고 있는 '디모르포스'(Dimorphos)에 ... ...
미리 보는 2022년 10대 우주 뉴스
2021.12.25
먼저 감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③ 인류 최초 ‘소행성 충돌’ 실험 인류를
멸종
시킬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인 소행성 충돌로부터 지구를 구할 가능성을 타진할 최초의 실험이 내년 9월경 진행된다. 지난 11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 ‘쌍 소행성 궤도수정 ... ...
공룡보다 앞선 지구의 첫 대형 동물은 바닷속 어룡
연합뉴스
l
2021.12.24
코노돈트 등이 훌륭한 먹잇감이 됐을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어룡과 고래가 대
멸종
뒤 바다로 들어가 큰 몸집을 갖는 등 여러가지 공통점이 있지만 덩치가 커진 진화 과정은 서로 달랐다면서 먹이사슬 내 틈새에 의존해 몸집을 키웠다는 것도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단백질 구조 해독 AI 만든 백민경 미 워싱턴대 연구원, 사이언스가 뽑은 최고 혁신 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12.17
받은 고대 퇴적물 속 인류의 DNA 연구가 꼽혔다. 스페인 연구팀이 현생인류와 공존하다
멸종
한 네안데르탈인이 위장관 안에 현대인과 같은 유익균을 갖고 있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는 등 고대 인류와 현생 인류 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이 다수 나왔다. 3위는 26.8%의 지지를 받은 생체 내 ... ...
"공룡들의 마지막 봄"…공룡대
멸종
칙술루브 소행성 봄에 충돌
연합뉴스
l
2021.12.13
겸임교수 로버트 드팔머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지구 역사상 세 번째로 큰 대
멸종
을 가져온 칙술루브 소행성의 충돌 시기를 봄으로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생물은 계절에 맞춰 번식하고 먹이 전략이나 새끼 돌봄 등을 달리해 칙술루브 ... ...
남미서 초식동물 사라지자 역대급 산불 잦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29
인간의 활동과는 직접적인 인과성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대형 초식 동물의
멸종
이 오히려 산불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다만 야생 초식 동물이 아닌 가축의 방목에 필요한 초지의 필요성은 역설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야생 초식 동물 개체 감소와 가축 밀도의 증가가 대형 산불에 ... ...
영화 ‘아마겟돈’ 현실로…NASA, 소행성 충돌 우주선 24일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11.23
지구 인근 궤도를 도는 소행성은 항상 지구에게 위협적인 존재다. 약 6600만년 전 공룡
멸종
을 유발한 가장 유력한 가설 중 하나도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이다. 충돌로 인한 폭발로 엄청난 먼지가 상층 대기를 뒤덮으며 태양을 가리고 생태계를 붕괴시키는 시나리오다. 소행성 충돌로 움직이는 ... ...
인니령 파푸아 비악섬 원주민, 우주선 발사기지 건설 반대
연합뉴스
l
2021.11.17
아니라고 주장한다. 비악섬 부족 지도자들은 우주선 발사기지 건설이 숲을 베고,
멸종
위기에 처한 새들의 서식지를 교란하며 원주민들을 쫓아내겠다는 뜻이라며 인도네시아 정부의 계획을 거부했다. 아폴로스 스로이어라는 이름의 지도자는 "우린 위성을 먹고 사는 게 아니다. 우린 토란을 ... ...
19세기말 한양 도성엔 범 거닐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1.16
모습을 감췄다. 현재 아무르 표범은 북한과 러시아, 중국 경계의 일부 지역에만 발견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됐다. 10년 전 서른 마리에 불과했으나 최근 100마리까지 수가 늘어나며 중국 내륙 방향으로 서식지를 확장하고 있다.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사람과 표범이 친근한 존재는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