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조상"(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늑대에 관한 기사 늑대란?기사 l20141203
- 늑대(Canis lupus chanco) 또는 티베트늑대(영어: Tibetan wolf), 털늑대(영어: woolly wolf)는 아시아의 투르키스탄, 티베트, 몽골, 중국 북부, 인도에 서식하고 있는 회색늑대의 아종 중 하나이다. 티베트와 라다크에서는 chánkú 또는 shanko로 알려져 있다. 늑대 종은 안 ... 따라 동종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늑대 ...
- '궁'은 궁인데...너무 어려워요. 청소년 문화재 지킴이가 된 기자의 첫 단추 끼우기....기사 l20141111
- 조선이 유교 국가라는 사실을 한양의 모습에 드러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대요. 그래서, 정도전은 왕이 머무를 궁궐을 짓기 전에 조상께 제사를 지내는 곳인 ‘종묘’와 곡식과 토지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인 ‘사직’의 위치를 먼저 봐 두었대요. 왕부터 ‘효’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기 위해서요. 경복궁의 이름은 유교의 교과서라 할 수 있는 ...
- 오산리 선사유적을 다녀와서기사 l20141109
- 오늘 오산리 선사유적지를 다녀왔어요.선사유적지에서는 옜날 신석기 사람들이 생활하였던움집이 전시되어 있었고, 안에 들어가서 체험을 해 볼수 있었어요.안에 들어가보니 생각보다 넓어 5~6명 정도가 살았을것 같다.다음으로 선사유적 박 ... 토우, 돌에 동물뼈를 달아 낚시했다는이음낚시줄이 가장 기억에 남는것 같아요.옛날 사람들이 살았던 곳을 직접 체험해 보 ...
- 지하철 8호선 끝에는 암사역이 있습니다. 암사역 1번 출구로나와서 02번 마을버스 환승하탐사기록 l20141101
- 살기 시작한건 언제 부터일까요? 구석기 시대부터 유적이 발굴되기때문에 구석기인들도 살고 있었던건 맞지만, 우리의 직접적인 조상은 아니라는 군요. 두개골형상을 조사해보니 신석기인이 우리의 직접적인 선조라고 하는데 북쪽에서 남하해서 한반도에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단군할아버지 신화가 다시 생각나네요. 절대 신화가 아니라 실제하는 역사가 ...
- 우리문화재, 우리가 지킵시다! ‘2014년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7
- 제사 날짜가 겹치기 않게 하기 위한 것! 3. 고직사의 문 아래에는 구멍이 하나 있는데 이것은 쥐를 잡기 위해 고양이문을 만든 것! 우리 조상님들은 정말 대단하신 것 같아요. 전교당현판 왼쪽에 있는 서당의 규칙이 적힌 현판과 오른쪽에 있는 왕조들의 제사 날짜가 적힌 현판 고직사 문 아래의 고양이문 안동문화재를 보고 ...
- 나도 이제부터 문화재 지킴이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6
- 짚풀로 만들어진 짚솔과 밀랍 그리고 빵떡걸레를 이용해 목조건물 나무 틈에 낀 먼지와 낙엽등을 깨끗하게 턴 다음 닦아내면 되는데 조상들의 지혜를 알 수 있었다. 지킴이 활동후에는 도산서원으로 향했다. 서원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공부하던 장소이다. 도산서원은 퇴계선생께서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직접 지으셨다고 한다. 서원에는 총 30곳의 건물과 ...
- 문화가 우리를 지킨다! 2014 한문화재 한지킴이 전국대회에 다녀와서기사 l20141024
- 고직사(서원 관리자들이 거주하던 곳)에 있는데, 옛날에는 쥐가 많아 고양이가 알아서 잡아 먹으라고 고양이 구멍을 만들었다고 한다. 조상의 지혜를 알 수 있는 것 같다. 영락서재는 도산서원의 제자들의 기부로 지어진 곳이다. 옛날에도 기부문화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산서당도 보았다. 도산서당은 1561년 퇴계이황이 낙향 후 학문연구와 후 ...
- 경복궁 갈때마다 하나씩 우리의 궁궐이 복원되고 있다. 역사의 고증에따라 차근차근 서로 다름포스팅 l20141024
- 경복궁 갈때마다 하나씩 우리의 궁궐이 복원되고 있다. 역사의 고증에따라 차근차근 서로 다름을 인정하듯 내가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한곳에서 한컷씩 ㅋ 조상의 슬기와지혜를 새삼느끼며 ...
- 여러분~ 2014년 한 문화재 한 지킴이 대회 취재하러 안동에 왔어요!! 자랑스런 문화재~ 우리 함께 지켜요!기사 l20141022
- 10월 18일, 19일(토,일) 청소년 문화재지킴이 기자단으로 2014년 한 문화재 한 지킴이 대회를 취재하러 안동에 갔다. 이 대회의 목적은 전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 문화재 한 지킴이 운동 참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로서로의 교류와 소통을 ... 내가 좋아하는 과학을 정말 좋아하셨던 것 같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하나를 만들어도 생각과 과학 ...
- 문화가 살아숨쉬는 그 곳! 안동 문화지킴이 축제기사 l20141019
- 한석봉의 친필도 바로 주변에 위치해있습니다.한석봉의 친필입니다.서원에서 빠져서는 안될 역락서재에서도 한컷!이것이 바로 조상의 지혜와 유머감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문입니다. 저 개구멍으로 고양이를 집어넣어 생쥐같은 생물을 잡아먹게 했답니다. 고양이 배도채우고 서당도 조용하고 이것이야말로 일석이조입니다.이번 문화재 지킴이 축제에 참여하게 해주신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