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미니
d라이브러리
"
초소형
"(으)로 총 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선통신 서비스용 무인기 헬리오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용해서 두 개의 신호전압(信號電壓)의 곱에 비례하는 전압을 만들어 내는 장치이다
초소형
화시킨 지름 1cm 이하, 길이 3~4cm의 유리진공관 편평한 형도 있다 전자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개발되었다 고분자화합물을 합성하는 실재적 방법의 하나 현탁(懸濁) 중합이라고도 한다 불포화화합물인 단위체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연료를 태워 작동하는 엔진이 실제로 이용될 수 없다. 때문에 버블젯 프린터처럼 기포가
초소형
엔진을 작동시키는데 적합하다. 마이크로 시스템에서 기포는 밸브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지름이 고작 수μm인 관에 히터를 장착한다. 그리고 이 히터를 데우면 그 관에 기포가 형성돼 액체의 흐름을 ... ...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최고속도는 시속 5백km 정도가 목표다.스마트 무인기는
초소형
항공기(MAV)와는 다르다.
초소형
항공기는 15cm 이하의 크기로 정의되며, 보편적인 항공기와 같은 고정익 형태도 있지만 작은 크기에서 비행효율을 높이기 위해 새나 곤충처럼 펄럭이는 날개를 갖는 형태도 연구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 ...
PC 위협하는 e메일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구성되어 있다세라믹스 등의 절연기판 위에 막 모양의 회로소자를 형성하여
초소형
으로 구성한 전자회로 여기서 막은 기계가공으로 만들 수 없는 얇은 막을 총칭하며, 그 중에서 진공증착(眞空蒸着) · 스퍼터링과 같이 진공 기술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얇은 막을 박막, 또 스크린인쇄 기술을 ... ...
MEMS 기술로 시력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MEMS 기술로 개발된 시력 회복 장치는 수μm (1μm= ${10}^{-6}$m) 크기의 실리콘으로 된
초소형
전극들로 구성돼 있다. 전극은 망막의 신경돌기와 크기가 비슷하다. 이 장치를 망막 세포에 이식한 환자는 소형카메라가 부착된 특수 안경을 써야 한다. 안경에 부착된 소형카메라가 무선신호로 MEMS 장치를 ... ...
이동통신이 지배하는 정보의 우주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탄생할 것이다. 원자나 분자 수준에서 물질을 가공해내는 나노기술로 개발된 각종
초소형
기기를 눈과 입, 귀와 손가락 등 신체의 각 부위에 이식하면 별도의 단말기를 휴대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에 접속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항상 무한한 정보를 휴대하고 다니는 셈이다.이처럼 ... ...
PART2 여름 피부 지켜주는 나노 화장품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등을 갖게 될 혈액 속
초소형
기기의 제작은 불가능하다는 말이다.그렇다면 적혈구 만한
초소형
기기는 단지 꿈에 불과한 것일까. 만약 결정의 크기를 수μm에서 수nm로 줄일 수 있다면 가능하지 않을까. 바로 나노소재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나노기술이 그리는 꿈이 현실화돼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μm-수mm의
초소형
시스템 제조 기술을 의미하는데, 현재 개발되고 있는 상당수의 첨단
초소형
장치는 이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나노펜으로 DNA칩 집적도 1억배 높여그런데 최근에는 이들 진단장비 개발에 마이크로 단위에서 나노 단위로 축소시킬 수 있는 나노 전기기계 시스템(Nano Electro ... ...
살아 꿈틀거리는 미니 태양계 목성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바다를 가진 것처럼 보이는 유로파와 같은 위성에 집중될 예정이다. 궤도선뿐 아니라
초소형
잠수함도 보내 물 속에서 헤엄치고 있을지 모르는 생명체를 찾아볼 것이다. 따라서 목성과 위성들이 만드는 다이내믹한 미니 태양계는 생명체 조사가 주된 21세기 태양계 탐사에서 중요한 목표가 된다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온전히 드러내지 않은 달은 이제 새로운 방문자를 맞이할 것이다. 이미 1990년에 12kg짜리
초소형
위성 ‘하고로모’를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사상 세번째로 달 궤도에 진입시켰던 일본은 앞으로 굴착형 탐사선 ‘루나-A’와 착륙형 탐사선 ‘세레네 1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중국은 무인뿐 아니라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