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명
결정
채택
선택
선정
뱃삯
뱃삭
d라이브러리
"
선임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두꺼운 얼음 아래에 이렇게 많은 자원이 숨겨져 있었구나. 그런데 보물이 또 있다고? 까만 털과 하얀 털이 섞여 있고, 뒤뚱뒤뚱 걷는 보물이라…. 설마! 내가 바로 남극에 숨겨진 보오~물? 남극에는 수만 종의 생물이 산다!매서운 칼바람이 불고, 겨울에는 영하 40℃를 넘나드는 남극에도 생물이 살아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확인할 수 있다. 라만분광분석은 라만산란을 이용해 분자를 감별하는 방법이다.정
선임
연구원은 “라만분석은 휴대용 기기로도 가능한 만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잔류 농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2~3년 내 상용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doi: 10.1021/acsami.8b0147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이들 훈련 장비는 테스트가 마무리되지 않아 지금은 사용하지 못한다. 그러나 김
선임
연구위원은 “이번 대회가 끝이 아니다”라며, “컬링 팀은 앞으로 이 장비로 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발원은 올해부터 동계와 하계 장애인 스포츠에 담당 연구원을 공식적으로 배정할 계획이기도 ... ...
Intro. 패럴림픽의 슈퍼휴먼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패럴림픽 한 눈에 보기 신체장애인의 스포츠대회 ‘패럴림픽’은 우리나라와 인연이 깊다. 1988년 서울올림픽 때부터 올림픽과 나란히 열리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 다친 군인의 재활을 위해 1948년 영국에서 처음 열린 패럴림픽은 1988년부터 올림픽과 함께했다. 패럴림픽의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주토피아에서 달리기 시합을 하면 어떨까. 공정성을 위한 규칙이 없다면 뻔하다. 토끼는 치타를 이길 수 없다. 시합이 재밌으려면 토끼도 금메달을 딸 수 있게 새로운 규칙을 만들어야 한다. 장애인 스포츠를 위한 이런 규칙을 수학이 만들었다. 놀랍게도 이 규칙만 있다면 비장애인과 함께 순위를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이후 헬리콥터로 회수하는 방식이다. 엔진은 1단 전체 비용의 65%를 차지한다. 박
선임
연구원은 “1단 전체를 재활용하는 스페이스X에 비해 비용 절감 폭은 적다”면서도 “스페이스X의 경우 재착륙을 위한 여분의 연료만큼 탑재 용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기술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이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RSA 공개키 암호를 수분에서 수십 분 안에 찾을 수 있다. 한
선임
연구원은 “현재 양자암호통신은 도청이 어려운 양자 상태의 암호를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양자컴퓨터 시대에 꼭 필요한 새로운 보안 기술”이라고 말했다 ... ...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스키 선수가 눈보라를 일으키며 슬로프를 멋지게 내려오고 있어요. 깃발 사이를 요리조리 피하면서 자유자재로 스키를 타고 있지요. 그런데 스키를 타고 있는 건 다름 아닌 로봇이에요! 이런 거짓말과도 같은 일이 2월 강원도에서 열리는 ‘스키 로봇 챌린지’에서 펼쳐져요. 어떻게 로봇이 스키를 ... ...
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챌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스키 로봇 챌린지는 세계 최초로 열리는 스키 로봇 대회예요. 로봇이 스키로 대결을 펼친다니 정말 놀라워요! 로봇들은 어떤 곳에서 대결을 펼칠까요? 올해 2월 9일부터 25일까지, 강원도 평창에서 전 세계의 겨울 스포츠 축제인 평창 동계올림픽대회가 열려요. 그리고 이틀 후인 2월 11일, 로봇들을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기술도 개발했다. 물론 모든 화장실 문에 이런 방화설비가 갖춰져 있는 것은 아니다. 신
선임
위원은 “화장실 문에 수건을 걸고 계속해서 물을 뿌려주는 것만으로도 연기를 막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2015년 2월 서울 청담종합사회복지관에 적용했다. 출입구 2개에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