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선임"(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제거할 수 있고, 기존에 이틀 이상 걸리던 정제 작업을 3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이 선임연구원은 “나노 다이아몬드는 그간 생성 방식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며 “플라스마를 이용해 나노 다이아몬드 제조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명확하게 촬영한 것이다. 기존보다 저항이 높은 코일을 사용해 장비 크기도 줄였다.장 선임연구원은 “손가락의 관절과 근육의 움직임을 실시간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다”며 “손목터널증후군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을 무릎이나 머리등 다른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차량, 사람, 자전거등 장애물의 종류를 일일이 표시해주는 주석 작업도 진행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을 일찍 시작한 해외 선진국은 공개된 AI 학습용 데이터를 다량 보유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데이터가 없어 AI에게 국내 도로 상황을 학습시킬 자료를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납 또는 염소 원소의 결함이 나타나기 쉬워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김 선임연구원은 “양자점 표면에서 원소의 결함이 일어나지 않도록 양자점을 합성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doi:10.1021/acsnano.8b00132 이 외에도 전문가들은 나노입자를 이용해 포유류처럼 미세한 촉각을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시기를 파악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하우탄 노우쉬미 상파울루 의대 유전학부 선임연구원은 “종양세포가 줄기세포의 특성을 갖기 시작하는 지점을 알아내 차단하면 암으로의 발전을 막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캐롤린 허터 국립인간유전체연구센터(NHGRI)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는 다양한 암 ... ...
-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펭귄부터 운석까지, 남극에서 보물 찾기!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 ...
- Part 2. 남극에 사는 별별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두꺼운 얼음 아래에 이렇게 많은 자원이 숨겨져 있었구나. 그런데 보물이 또 있다고? 까만 털과 하얀 털이 섞여 있고, 뒤뚱뒤뚱 걷는 보물이라…. 설마! 내가 바로 남극에 숨겨진 보오~물? 남극에는 수만 종의 생물이 산다!매서운 칼바람이 불고, 겨울에는 영하 40℃를 넘나드는 남극에도 생물이 살아 ...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기존 MLP에서 볼 수 없었던 작은 고리모양의 독특한 구조를 발견했다. 줄리 샤프 디킨대 선임연구원은 “MLP가 슈퍼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며 “오리너구리가 모유를 먹이는 독특한 방식 덕분에 특이한 항균 능력을 가진 단백질이 발견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107/S2053230X170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도대체 어떤 보물이 남극에 숨겨져 있다는 거지? 남극에 보물을 찾으러 온 사람들을 만나서 직접 물어 봐야겠어. 30주년을 맞은 세종과학기지!서울에서 1만 7240km 떨어진 곳에 우리나라 연구원들이 머물고 있어요. 바로 올해 2월, 문을 연지 30년이 된 남극 세종과학기지예요. 우리나라는 40년 전 남 ...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확인할 수 있다. 라만분광분석은 라만산란을 이용해 분자를 감별하는 방법이다.정 선임연구원은 “라만분석은 휴대용 기기로도 가능한 만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잔류 농약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며 “2~3년 내 상용화가 목표”라고 말했다. doi: 10.1021/acsami.8b0147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