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파충류인 타니스트로페우스 화석의 긴 목에서 포식자에게 물려 잘린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타니스트로페우스는 목이 몸통보다 3배나 긴 해양 파충류로, 얕은 바다에 살며 긴 목을 활용해 먹이를 사냥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팀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에 보관된 타니스트로페우스 ... ...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멜라닌 세포 모반에서 길고 억센 털이 자라도록 돕는 분자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모반 내부의 노화한 멜라닌 세포에 주목했어. 털이 많이 자라는 모반을 가진 쥐를 관찰한 결과, 연구팀은 모반 속의 노화 멜라닌 세포가 정상 멜라닌 세포는 만들지 않는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궤도위성 고스(GOES)-17의 데이터를 분석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통가 화산이 분출할 때 반경 약 140km 내에서 19만 2000번의 번개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지요. 또한 1분당 최대 2615번 섬광을 만들어 냈고, 일부 번개는 ... ...
- [숫자뉴스로 보는 뉴스] 어린이를 위한 병원, 10년 동안 1/40 줄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통계청이 발표한 출생아★ 수는 2012년에 48만 5000명이었지만 2022년에는 24만 9000명으로, 거의 이나 줄어들었어요. 아이의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소아청소년과는 환자가 적어지고, 병원을 운영해 얻는 이익도 줄어든 거예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마이크로바이옴, 천연기념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한때 우리나라에서 사라진 천연기념물 황새의 번식률이 지난해보다 30% 증가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는 문화재청이 1996년부터 시행한 황새 복원사업의 결과였지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꽃을 피우는 일부 식물이 곰팡이에 감염돼 병들고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발표했어요. 2020년, 연구팀은 남극 세종과학기지 인근에 사는 식물인 ‘남극개미자리’가 잎이 노랗게 변하면서 점차 하얗게 말라 죽는 것을 발견했어요.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남극개미자리를 병들게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식품영양학부 안웨샤 사카르 교수팀은 초콜릿의 미끌미끌한 식감의 비밀을 연구해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3D프린터로 혀 모형을 만들었어요. 이후 돼지 위 점액을 이용해 침을 모방한 용액을 만들었죠. 그리고 이 용액을 혀 모형에 뿌린 뒤 초콜릿을 문질러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 지구로 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태양광 발전 시연기(SSPD)가 보낸 전기 신호를 지구에서 수신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이번 실험은 시연기에 탑재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인 ‘메이플’을 통해 이뤄졌습니다. 메이플 내부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약 30c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어요. 수신기가 태양 에너지를 받아 이를 ... ...
- [가상인터뷰] 길고양이와의 공존을 위한 해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수술 없이도 암컷 고양이의 생식력을 떨어뜨리는 유전자 치료 주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항뮬러호르몬의 효능에 주목했어. 항뮬러호르몬은 쥐 실험을 통해 난자로 자라는 세포인 난포의 성장을 억제한다고 알려졌거든. 연구팀은 단백질을 전달하는 운반체인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에 ... ...
- [만화뉴스] 모르는건모른다고말하는 정직한 AI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이규빈 교수팀은 모르는 데이터를 구별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AI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작업자인 ‘블록’이 이를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이때 기존의 AI는 가장 많은 데이터를 학습한 마지막 블록을 사용해 답을 몰라도 가장 비슷한 값을 정답으로 잘못 인식한다는 문제가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