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2014년, 미국 캘리포니아버클리대학교 고고학과 연구팀은 새로운 수원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아푸리막강보다 북쪽에 있는 지류인 만타로강에 주목했습니다. 만타로강은 아푸리막강과 합류해 에네강을 형성한 뒤, 우카얄리강으로 흘러들어 대서양으로 빠져나가죠. 만타로강의 상류는 ... ...
- [만화뉴스] 불 속으로 뛰어드는 소방관 파이어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공동연구팀은 불길을 뚫고 화재 현장을 정찰하는 ‘파이어드론’을 개발했다고 지난 6월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열에 강한 폴리아미드 등의 복합 소재와 열 전달을 늦추는 공기층을 만들어 드론을 감쌌죠. 그 결과, 드론은 200℃에서 10분 이상 견딜 수 있었어요. 연구팀은 “파이어드론이 소방관보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먹지 말고 감으세요! 옥수수 추출물로 샴푸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연구팀은 슬로우모션 카메라와 X선 이미지로 옥수수 전분 반죽을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반죽에 빠르게 힘을 가하면 현탁액●인 옥수수 전분 반죽 속에서 물은 빠르게 흘러 나가고 전분 입자는 천천히 서로 엉기면서 딱딱하게 고체화되는 걸 확인했지요. 이때 현탁액 속 입자의 분자 ... ...
- 바둑이를 만난건 삽살개 사랑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원형을 복원해 나갑니다. 동료 연구자들과 함께 삽살개에 관한 연구 논문도 여럿 발표하지요. 그 덕분에 삽살개는 1992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됩니다. 삽살개 복원 사업을 시작한 지 약 20년 만인 2000년대 초반, 짧은 털에 얼룩무늬를 가진 바둑이가 처음 태어났습니다. 삽살개의 유전자 속에 ... ...
- [만화 뉴스] 지하수 사용, 해수면 상승시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서기원 교수팀은 지구의 자전축 변화를 근거로 지하수 사용이 해수면을 상승시킨다고 발표했어요. 지구에 존재하는 물의 총량은 일정하기에, 지하수가 줄면 바닷물이 그만큼 늘어나요. 회전하는 팽이 위에 물체를 얹으면 회전이 달라지듯,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가 물의 분포가 달라지면 지구의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히로유키 교수팀은 뮤온으로 지하에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 입자로 위치를 파악한다고? 연구팀은 6층 건물의 옥상에 4개의 뮤온 검출기를 설치했어. 그 후 사람이 직접 수신기를 들고 지하 복도를 왔다갔다하며 사람의 위치를 추적하는 실험을 했지. 연구팀은 ... ...
- [숫자뉴스로 보는 뉴스] 어린이를 위한 병원, 10년 동안 1/40 줄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줄어든 이유 중 하나는 태어나는 아이의 수가 줄었기 때문이에요. 통계청이 발표한 출생아★ 수는 2012년에 48만 5000명이었지만 2022년에는 24만 9000명으로, 거의 이나 줄어들었어요. 아이의 수가 점점 줄어들면서 소아청소년과는 환자가 적어지고, 병원을 운영해 얻는 이익도 줄어든 거예요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박찬규 교수팀은 우리나라의 토종개 ‘바둑이’의 집단 복원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어요. 이전에도 바둑이를 복제한 연구가 있었지만, 50마리 이상의 집단을 형성한 것은 처음이에요. 바둑이는 우리 조상들이 개의 대명사처럼 부를 정도로 흔하고 친숙한 개였어요. 그런데 어쩌다가 복원 연구를 해야 ... ...
- [과학뉴스] 목이 긴 타니스트로페우스의 약점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파충류인 타니스트로페우스 화석의 긴 목에서 포식자에게 물려 잘린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타니스트로페우스는 목이 몸통보다 3배나 긴 해양 파충류로, 얕은 바다에 살며 긴 목을 활용해 먹이를 사냥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구팀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에 보관된 타니스트로페우스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갈리폰 교수팀은 살아있는 동물이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동물들이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