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맨"(으)로 총 1,24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혼합현실을 만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있어. 바로 ‘홀로렌즈’지. 홀로렌즈를 쓰면 가상현실이 더욱 진짜처럼 느껴진단다. 맨 손으로 마인크래프트를 짓는다?!“세상을 만들어 줘(Create World)!”지난 2015년,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임쇼 ‘E3’에서 윈도우 MR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홀로렌즈를 선보였어요. 고글처럼 생긴 홀로렌즈를 낀 ... ...
- Part 1. 더욱 진짜 같은 가상현실이 온다! 혼합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있답니다. 이제 영화 속에서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도 이런 모습을 볼 수 있어요. 아이언맨처럼 실시간으로 가상현실과 소통할 수 있는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이 등장했기 때문이지요. 혼합현실은 가상현실(VR)에서 진화한 기술이에요. ●HMD 헤드셋을 끼고 보는 VR은 사람이 직접 보지 못하는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떨어진 다른 대륙까지 공격할 수 있는 무기예요. 우주발사체 로 켓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맨 꼭대기에 위성 대신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탄두가 들어가지요. 또 우주발사체는 우주로 뻗어나가기만 하는 반면, 대륙간 탄도미사일은 대기권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며 목표 지역으로 떨어진답니다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도도새 22마리의 뼈 화석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알에서 깨어난 후 두 달이 됐을 때, 맨 안쪽 층의 비율이 가장 컸어요. 즉, 도도새는 부화한 지 두 달 만에 성장을 끝내는 거예요. 일리: 왜 부화하자마자 빠르게 성장을 하는 거야? 도도새: 도도새가 사는 모리셔스 섬은 여름이 되면 강한 태풍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2007년,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드디어 해류의 흐름을 지도로 나타내 발표했어요. 1992년 맨 처음 미국 싯카에 도착한 이후 알래스카 연안, 알류산 섬 등을 거쳐 전세계로 퍼지는 러버덕의 위치를 기록했지요. 그리고 이 기록을 ‘오스커스(OSCURS)’라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입력해 이동 경로를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그 중에서도 앙증맞은 주황색 더듬이를 달고 샛초록 몸을 꿈틀거리는 호랑나비 애벌레(맨 위 왼쪽 사진)가 단연 인기였답니다. ➊ 제인구달길에서 장이권 교수님이 숲에 사는 곤충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➋ 야간 곤충 탐사에 푹 빠진 어린이 대원들.➌ 숲에서 만난 알락하늘소.➍ 주파수 앱을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에 가장 가깝게 다가가는 만큼 어마어마한 태양열을 견뎌야 해요. 이를 위해 탐사선 맨 앞에는 커다란 ‘열 보호막’이 달려 있어요. 산화알루미늄과 탄소복합재료로 된 열 보호막은 막대한 양의 햇빛을 반사하고, 태양의 높은 온도에도 구조와 모양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줘요.이외에도 태양 ... ...
- [과학뉴스] 몸 속이 다 보이는 투명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야쿠는 배뿐만 아니라 가슴까지 전체적으로 투명해서 심장이 뛰는 모습까지 맨 눈으로 볼 수 있어요. 크기는 2cm로 작고, 머리부터 등까지 몸 전체에 진한 녹색 점들이 박혀 있답니다. 또, 울음소리가 다른 개구리보다 더 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요.연구팀은 하이알리노베트라키움 야쿠를 관찰한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151쪽의 그림➊처럼 맨 아래 오른쪽(빨간색 점선)에 그렸다고 가정할게요. 그러면 블루는 맨 아래 오른쪽 상자를 완성한 뒤 이웃한 상자 4개를 연달아 완성할 겁니다. 4-0이었던 점수가 순식간에 4-5가 돼서 레드가 집니다. 두 번째 전략을 선택하면 어떨까요? 그림➋처럼 상자 2개를 완성한 블루는 ... ...
- [과학뉴스] 지진 규모 예측할 단서 찾았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포착하면 이후 진행 양상에 대해서는 예측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에서 맨-앤드린 메이어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지진연구소 연구원팀은 100개 이상의 지진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에너지가 방출되는 속도를 토대로 향후 일어날 지진의 최소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고 밝혔다. 가령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