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d라이브러리
"
그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시계에서 불시계까지 시계의 발달 시계의 발달①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위에 있을 때
그늘
은 아주 짧았고, 해가 서쪽으로 기울어갈수록
그늘
은 길어졌다. 나무
그늘
, 서있는 사람의 그림자, 땅을 향해 수직으로 선 기둥들의 그림자는 태양의 시간을 재고 있었다.●-해시계가 정한 로마의 출근시간그림자가 있는 것이면 모두 태양의 시간을 잴 수 있다는 사실은 단순하지만 ... ...
태평양의 열대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많이 있다. '호놀룰루 크리퍼', '랭군 크리퍼'같은 꽃들은 집울타리에 올리거나
그늘
을 얻기 위한 덩굴 시렁을 만들거나 또는 집 뜰안에 아치를 만드는 등 여러가지 목적으로 쓰인다. 특히 '텀벌기아'같이 거세고 성장이 빠른 덩굴은 검은 녹색의 잎사귀에 희고 큰 꽃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무척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주정부의 건강조사나 환경조사는 아직도 없는채이다.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사고의
그늘
에 감춰져 드리마일원자력발전소사고는 잊혀지려하고 있다. 전지구상에 퍼진 공포의 방사능 소련의 체르노빌원자력발전소사고(86년4월26일)발생으로부터 벌써 21개월이 지났다. 소련의 대곡창지대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향하는 부분은 태양열에 의해 큰 가열을 받아서 기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는 반면에
그늘
에서는 절대온도 0에 가까운 우주공간에 노출되기 때문에 기체온도가 크게 저하한다. 이러한 기체내의 커다란 온도구배 때문에 기체구조물은 응력을 받게 되고 열제어문제도 발생한다. 무중력 상태이기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살아가다 순식간에 죽음을 맞는 것도 삶의 한 형태가 될 수는 있겠지만 그보다는
그늘
속에 감추어진 문명의 뒷모습을 더욱 밝게 조명해보고 나아가 위험을 보다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바른 문명인의 자세가 아닐까 싶어지는 것이다.국민에 떳떳이 알리는 자세 아쉬워이런 점에서 지난해 ... ...
현대문명의 사생아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가해왔다. 그러나 올림픽의 교두보랄 수 있는 아시아 경기대회는 많은 긍정적 성과의
그늘
속에 눈에 잘띄지 않는 틈들을 남겼다.첫번째 실수는 신분증(ID) 카드발급때 발생했다. 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18)이 '의사'신분의 ID카드를 발급받았던 것이다. ID카드는 경기장을 마음대로 드나들 수 있도록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이용, (그림3)과 같이 습도계를 만들면 해변지역이 내륙보다 습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늘
, 숲속 등 각 지점별로 측정수치를 기록해 비교해본 뒤 장소에 따라 습도가 달라지는 까닭을 가족들끼리 토의해본다. ▲날으는 말 : (그림4)와 같이 두꺼운 종이에 그림을 그린뒤 한가운데 나무젓가락을 ... ...
하이테크시대의 신종병 테크노스트레스의 정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흔히 화려한 부분에만 스포트라이트를 비치지만 실은 그 수면아래에는 거대한
그늘
부분이 가로 놓여있다. 그 중의 가장 가혹한것이 과로이다. 사람보다 컴퓨터를 좋아하는 소년들 요즈음의 공과계 학생들은 자신의 퍼스널컴퓨터를 더러 가지고 있다. 2대씩 가지고 아르바이트를 열심히 하여 매달 ... ...
바닷속 신비 산호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6개의 맹독을 지닌 예리한 가시를 갖추고있으며 낮에는 햇빛을 싫어하여 산호밑이나 바위
그늘
에 숨어있다. 그러다가 밤이 되면 기어다니면서 산호를 뒤덮는다. 그리고 위의 점막을 직접 산호에 밀착시켜 녹여서 빨아먹는다. 도깨비 불가사리에 먹힌 산호는 샛하얗게되어버려 쉽게 부스러진다.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는 새우난초는 꽃모양이 다양해 유망시됐다. 나리난초는 낙엽성 잡목림 아래의
그늘
지고 습한 곳에서 무리지어 자라고 있는데 분재의 공간활용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변산 덕유산 지리산 장안산 등지의 평탄한 곳에서 자라는 제비나초라든가 난초류중에서 꽃이 가장 큰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