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d라이브러리
"
그늘
"(으)로 총 285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일약 거인중의 거인이 되었다. 이제 거인의
그늘
아래 옹기종기 모인 군소업체들은 IBM의
그늘
아래에서 그나마 명맥을 유지할 것인가, 아니면 용감히 뛰쳐나가 뙤약볕아래에서 고사할 것인가를 결정하도록 강요받았다.이른바 플러그컴페티블(plug-compatible)이라는 새로운 산업이 만들어졌다. IBM에서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콩나물은 신선한 비타민C를 대량으로 공급하는 식품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콩나물은
그늘
에서 즉석재배하면 누구나 쉽게 기를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또 요리를 하기도 쉬우며 요리의 종류도 다양하다. 감기에 걸렸을 때 콩나물국을 즐겨 먹는 이유도 비타민C를 대량으로 섭취하기 위해서다.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햇볕이 내리쬐면 역시 복사에 의해 형성층이 생긴다. 그러면 식물의 체온은 겨울에
그늘
속에서 있을 때보다 30℃나 더 높아진다. 이것은 식물이 저온스트레스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예외로 눈식물(snow plant)로 불리는 천남성과(天南星科)의 한 종은 빠른 생장때문에 주변의 온도보다 높은 ... ...
제작술보다 한발 앞선 보존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 후박나무를 수년 동안 바닷물에 담갔다가 소금물에 찌서 진을 뺀 뒤 다시 수년동안
그늘
에서 말렸다고 한다. 그리고 판목에 크기대로 다듬어서 글자를 새겼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우리나라가구용 목재의 전통적 처리방법과 같다.그래야만 목판이 단단해져 뒤틀리지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참나무(미국에는 붉은 단풍보다 더 붉게 타는 참나무가 많다)의 잎을 덮거나 혹은
그늘
에 두면 결코 잎이 붉게 변하지 않고, 누르스름한 색깔을 나타낸다는 관찰결과를 통해 잘 설명된다.엽록소의 소실은 잎에 더 많은 광선을 쪼이게 해 잎의 붉은 색소 발달을 촉진시킨다. 이것은 흐리고 구름이 많은 ... ...
낙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없을 정도다. 그러나 낙타의 눈에는 긴 눈썹이 있어 모래바람을 막아준다. 뿐만 아니라
그늘
하나 없는 뙤약볕 아래에서 태양의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눈꺼풀도 이중으로 되어 있어 아무리 모래바람이 불어도 끄떡 않고 사방을 볼 수 있다.낙타의 눈은 '먼산 바라보기'다. 우직하고 ... ...
무더위의 독기를 다스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맺히고 시원한 나무
그늘
이 그리워지는 계절이다. 늘 이맘때가 되면 느티나무의 넉넉한
그늘
에 둘러 앉아 평상이나 멍석을 깔고 수박 참외같은 신선한 과일을 나누며 더위를 달래는 모습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여름의 더위속에서 시원함과 청량감을 주고 맛을 느끼게 하며 건강한 여름을 지내는데 ... ...
중금속 오염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되었는가. 이것은 이 기간에 특별히 많이 발생했다기보다는 그동안 경제성장의
그늘
에 가려, 산업 발달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될 중금속 중독과 같은 직업병 문제에 우리 모두가 관심을 등한히 한 결과로 생각된다.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중금속을 살펴보면 수은 납 베릴륨 카드뮴 크롬 구리 ... ...
거친 환경에 적응한 4백여종 한국의 고산식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잎뒷면에 황색가루가 덮여있는 설앵초, 용담과 비슷하나 꽃이 백색이고 외형이 작은 흰
그늘
용담, 꽃잎이 십자모양으로 되어 있는 섬바위장대 등이 나타나고 있다.동해바다에 우뚝 솟아 있는 울릉도의 성인봉에는 두메오리나무 황기 미역줄나무 메제비꽃 돌바늘꽃 만병초 홍만병초 백리향 섬백리향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소신을 발표하지 못했으며 이에 따라 학문자체도 위축됐다"고 토로했다. 첨단과학의 뒷
그늘
-도청논쟁근래에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강렬한 문제점을 던져준 사건은 소위 '블랙박스 도청'이라 불리운 전화도청장치의 개발여부였다. 안기부의 의뢰에 따라 전자통신연구소에서 개발한 이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