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둔부
궁둥이
볼기
엉덩짝
볼기짝
끝
힙
d라이브러리
"
엉덩이
"(으)로 총 3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민족의 영물 호랑이
과학동아
l
199801
못하고 온몸이 바위로 눌리게 되는데 비해 호랑이만은 언제나 몸이 반 이상 빠져나가다
엉덩이
끝이나 꼬리만 눌리게 되는 게 보통이라고 한다. 그만큼 호랑이는 재빨라서 일순간 몸을 돌려 빠져나간다는 것이다.멧돼지와 같은 동물은 덫에 걸리면 자신의 몸을 물어뜯어서라도 기어이 탈출하고 ... ...
처녀의 젖가슴이 큰 유일한 동물
과학동아
l
199712
아이을 낳아주었다. 이런 구도가 깨질 판이었다.그래서 암컷은 눈에 잘 띄는 몸의 정면에
엉덩이
의 둥그스름을 모방한 봉우리를 만들어 수컷의 시선을 끄는 방법을 고안해냈다. 이것이 인간 젖가슴의 기원이라고 한다. 만일 수유를 위한 젖가슴이라면 그렇게 크고 둥근 모양을 이루지 않았을 것이다. ... ...
사람이 풍기는 성적 냄새
과학동아
l
199711
수퇘지의 타액에서 페로몬의 냄새를 맡으면 조건반사적으로 등을 둥그렇게 만들고
엉덩이
를 단단하게 하면서 음부를 내놓고 교미자세를 취한다. 발정한 암퇘지의 질에서 쏟아지는 점액을 모조품에 발라두면 수돼지가 그 위로 올라타기도 한다.사람의 코에 VNO가 없다는 주장은 오랫동안 학계의 ... ...
1. 동물사회의 지도자 그 카리스마의 비결
과학동아
l
199711
이해돼야 한다.침팬지 젊은 수컷이 종종 우두머리에게 다가가 장난을 거는 듯 하다가는,
엉덩이
를 들고 도망치는 모습을 반복하는 경우가 있다. 발정한 암컷이 보이는 구애행동과 매우 비슷하다. 그리고 우두머리는 도망치려는 젊은 놈을 붙잡아, 짝짓기를 시도하는 것처럼 아래 몸으로 눌러버리는 ... ...
소화기관은 안일까 밖일까
과학동아
l
199710
만들어보자. 그렇게 하면 입에서
엉덩이
의 구멍까지 직선의 터널이 생긴다. 밤에
엉덩이
쪽에서 들여다보면 입을 통해 별님이 보일지 모른다. 이 모양은 마치 가운데에 구멍이 뚫린 어묵의 모습일 것이다.입과 항문을 직선의 터널로 생각할 때 소화기관은 몸의 안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사실 몸의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09
남자들은 유방이 크면 젖을 많이 분비하므로 아기를 굶겨 죽이지 않고 잘 기를 수 있고
엉덩이
가 넓으면 산도(産道)가 협소하지 않으므로 분만 도중에 산모와 태아가 죽을 염려없이 아기를 잘 낳을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궁둥이가 넓적하고 젖가슴이 불룩하면 허리는 당연히 가늘어 보인다. ... ...
페니스는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199706
연결된 인대를 일부 절단하여 밖으로 돌출하게 만드는 수술로 연장될 수 있으며, 굵기는
엉덩이
에서 피부를 떼어내 음경 둘레에 감아주는 이식수술로 키울 수 있다.페니스에 대응하는 여성의 발기조직은 클리토리스이다. 태아의 동일 조직이 음경 또는 음핵으로 분화되기 때문이다. 음핵은 생식에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03
수평축을 중심으로 돌면 공중제비가 되고 수직축을 중심으로 돌면 회전돌기가 된다.
엉덩이
를 지나는 축에서 볼 때, 1백80cm의 키를 가진 사람이라면 그의 몸은 90cm 가량이나 뻗어 있기 때문에 회전관성이 크다. 그러나 수직축을 중심으로 보면 그의 신체는 몇십cm 밖에 안되므로 회전관성이 작을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03
뜨인 것도 사실이다.공룡발자국은 앞과 뒤가 다르다. 앞은 뒤보다 작다. 아마 머리쪽보다
엉덩이
쪽이 몸무게가 더 나갔던 모양이다. 또 뒷발자국은 앞발자국보다 뭉툭했다. 앞발자국은 대개 발가락이나 발톱자국과 같은 흔적이 있다. 만약 이러한 흔적이 없다면 그것은 두발로 걸어다닌 공룡이다. ... ...
남성도 폐경기 있다
과학동아
l
199612
발병률이 높아져 오히려 여성을 앞지르는 실정"이라고 지적한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엉덩이
뼈가 부러지는 비율이 1972-1984년 사이에 42%나 증가했다. 이런 추세라면 2000년대 초에는 7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남성이 여성보다 골다공증에 잘 걸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