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묘사
말씨
말
표시
서술
발상
말투
d라이브러리
"
표현
"(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춘분점을 지구 공전 궤도의 시작점으로 삼았다. 그래서 행성의 공전 궤도를 수식으로
표현
할 때는 항상 이 춘분점에서 시작하고, 우리가 하늘을 볼 때 사용하는 적도 좌표계도 춘분점을 경도의 시작점으로 삼는다.춘분점은 하늘 어디에 있을까? 춘분에 태양이 정확히 춘분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때 ... ...
과학의 열정 무대에서 불사르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마시지”‘나무와 태양의 비밀 이야기’에서는 이처럼 광합성 과정을 곡의 가사로
표현
했는데 학생들과 학부모 모두 따라 부르는 모습에 그는 보람과 감동을 느꼈다.“과학은 어렵다는 걸 인정하고 좀 더 재미있게 설명할 수 있는 길을 찾는 것이 저희 임무라고 생각합니다.”과학현상을 이해하는 ... ...
HDTV 다음은 3DTV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개발했다. 삼성전자 역시 휴대용 3차원 디스플레이와 2차원, 3차원 영상을 섞어서
표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발했다.현재 세계적으로 3D 디스플레이 기술은 태동기에 있다. 아직 세계적인 기술 표준도 마련되지 않았다. 즉 먼저 기술을 선점하는 나라가 3D 디스플레이에서는 일인자가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Computer Managed Instruction)를 합하여 CBE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가정교사시스팀'으로
표현
돼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공학센터에서 3개년 계획으로 개발되고 있다컴팩트디스크(CD)의 테이프 판 디지틀 신호로 녹음한 테이프로 애널로그 방식에 비해 잡음이 없고 음폭이 넓으며 음질이 뛰어나다 ... ...
산할아버지 구름모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벗겨오지~♪”‘산할아버지’(산울림 곡)를 부르다보면 산에 낀 구름을 구름모자라고
표현
한 작사가의 감각에 감탄한다. 하지만 산봉우리에 만들어진 ‘렌즈운’을 보고 가사를 지었다면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렌즈운’은 가짜 UFO렌즈운이 구름을 분류하는 정식명칭은 아니다. 다만 구름의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작용기로 치환한 유도체를 포함한다(l, m, n)은 g의 방향을 주고 위와 같이 코사인으로
표현
되므로 g의 방향코사인이라고 한다난소가 성숙했는데도 배란이 일어나지 않고 윌경이 없거나 불임일 때 배란을 촉진하기 위 해 사용하는 약물 배란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뇌의 시상하부-뇌하수체계가 제대로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유사해서 거부반응을 유발하지 않을 것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바이오테크놀로지라는
표현
이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80년대에 들어서서부터이다테크놀로지는 과학기술이라든가 공학(工學)을 나타내는 말이므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응하는 우리말은 「생물공학」 또는 「생명공학」인데, 생물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LGM이란 인간과 비슷한 외계 지적생명체가 보내는 신호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재미있게
표현
한 ‘작은 초록 외계인’(Little Green Man)의 첫글자를 딴 이름이다. 첫번째 LGM을 발견한 달이 끝나갈 무렵 벨은 두번째 LGM을 찾아냈다. 두번째 신호를 발견하자 LGM이 외계 지적생명체의 신호라는 생각은 잘못된 ... ...
최종이론의 꿈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바꾸면 결과가 달라지는) 게이지 대칭성.비섭동적 효과*약력이나 전자기력은 그 힘을
표현
하는 결합상수가 충분히 작아서 이 값을 중심으로 급수전개(섭동론)가 가능하지만 강력의 경우 그 결합상수가 아주 커서 섭동론을 적용할 수 없다.게이지 이론*특정한 게이지 군에서 게이지 변환을 하더라도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픽병 2단계에서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바로 어휘의 파편화이다. 자신의 뜻을
표현
하거나 상대의 말을 이해하는 능력이 급격히 떨어져서 동문서답이 잦아진다. 지금 래빗의 답도 그 증상 탓일까. 하여튼 이야기를 더 나눠보기로 했다. “그런데 왜 로봇 귀가 저래요? 수많은 로봇 중에서 저런 ... ...
이전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2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