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생충의 기상천외 생존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않는 사람을 ‘이 기생충 같은 놈!’이라고 욕하죠? 하지만 우리 기생충은 다른 생물의 몸에 기생해 살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다양한 생존 방식을 개발해 왔어요. 이건 흡사 숨 막히는 생존 영화와도 같은 시간이었죠. 그러니 기생충 같은 놈은 욕이 아니라 칭찬이라고요! 기생충은 다른 생물에 ... ...
- 이모지(Emoji)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많을 거야. 일본에서 태어난 우리는 지금은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 우리가 널리 쓰인 지도 벌써 20년!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지금은 인터넷은 그림문자 시대?! Part1.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Part2.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Part3. 점점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넓히기 : 심장 재생은 좀비에게 맡겨라!세포 중에도 좀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는 노화하면 제 기능을 잃고 죽어 사라져요. 그 빈자리는 다른 세포가 분열하며 만든 새로운 세포로 채워지지요. 그런데 어떤 세포는 분열 능력을 잃을 정도로 늙었는데도 죽지 않아요. ... ...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돼지고기를 통해 감염되는 기생충이다. 그런데 1980년대 후반, 충북대학교 엄기선 교수는 우리나라 국민의 소고기와 돼지고기 소비량이 비슷함에도 민촌충의 감염 비율이 5배나 높게 기록된 것을 발견했다. 그는 돼지의 간에 민촌충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기생충이 있어서 통계에 착오가 생긴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있죠.두 조이콘에서 AND 노드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을 때에만 소리가 난답니다.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AND 노드를 썼지만, 프로그래머들은 AND 말고도 ‘OR’, ‘NAND’, ‘NOR’ 등 다양한 종류의 논리 연산을 사용해요. 논리 연산은 프로그래밍이나 디지털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답니다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혹시 우리 기생충이 숙주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고 ‘기생충 없어졌으면!’ 이런 생각하는 건 아니겠죠? 그런 생각은 하지 말아요. 우린 생태계에 반드시 필요한 존재랍니다. 기생충을 주인공으로 환경 영화를 만든다면 대상을 받을 걸요? 무슨 말이냐고요? 기생충은 생태계를 지키기도 해요. 한 예로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내. 몸길이는 15mm 안팎인데 여왕벌은 이보다 좀 더 크고, 일벌은 몸집이 작은 편이야. 우리는 엉덩이춤을 추며 대화해. 원형을 그리거나 8자 춤을 추는데 그 속도를 바꿔가며 다양한 의미를 전하지. 꿀이 많은 곳이나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으면 엉덩이를 흔들어 위치를 알린단다. Q우와, 너희 좀 ... ...
- [충돌 D-DAY] 소행성의 파편이 떨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궤도를 파악한 뒤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근지구소행성은 다행히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에는 충돌할 가능성이 거의 없지요. 문제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이 훨씬 많다는 거예요. 김연구원은 “근지구소행성을 하루 빨리 하나라도 더 발견해 감시하는 게 중요하다”고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병(熬餠·볶은 떡)을 먹었다는 기록만 승정원일기에 남아있다”며 “어쩌면 조상들도 우리처럼 매콤한 고추장 떡볶이를 즐겼을 수 있다”고 말했다. 세상에서 가장 매운 고추는 떡볶이는 매운맛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성분인 캡사이신이 많이 들어있을수록 매운맛도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지 불확실해집니다. 우리는 스스로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뇌가 그저 정해진 대로 입력에 따른 출력을 내놓고 있을지 어찌 알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인간이 될 수 있을지를 판단하려면, 그 전에 인간이란 무엇인지부터 정의해야 합니다. 인공지능이나 사이보그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