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해상 로켓 회수 성공한 스페이스X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좁기 때문이다. 스페이스X도 그동안 네 차례나 실패를 겪었다. 엘론 머스크는 “로켓을 재
활용
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은 우주개발 역사에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이들은 1급 보안을 요하는 위험 생명체에 대한 정보를 노릴 가능성이 크다. 이 정보를
활용
해 마치 컴퓨터 바이러스를 제작해 배포하는 것처럼 위험한 생명체의 제작 매뉴얼을 배포하거나 직접 테러를 감행하는 사례가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개인맞춤형 생물무기가 발생할 가능성도 제시됐다. 몇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르치는 쪽으로 연구 방향을 틀었다. 인류가 가장 먼저 사용한 문자가 그림을
활용
한 상형문자였기 때문이다. 상형문자는 문자가 뜻하는 대상을 그림으로 표현했기 때문에 특별한 규칙을 외우지 않아도 쉽게 익힐 수 있다.과학자들은 침팬지와 대화하기 위해 특별한 그림문자를 고안했다. 이를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을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차폐공명장치 기술이다. GPS 등 위성 정보를
활용
하는 분야가 갈수록 확대되면서 위성의 영상자료를 전송하는 기술에 대한 수요도 많다. 현재는 미국, 독일 등 일부 국가가 기술을 독점하고 있다.Mission2. 우주산업을 선점하라최근 억만장자 엘론 머스크가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감염자를 찾거나 붕괴 현장에서 피해자를 찾는 등 앞으로 더 다양한 분야에 영웅쥐들을
활용
할 예정이랍니다. “어머! 네가 우리 뽀삐를 돌봐 준 아이구나!”차의 문을 벌컥! 열었더니 글쎄, 뽀삐가 어떤 여자의 품에 너무 행복한 모습으로 안겨 있는 거야. 알고 보니 뽀삐를 데려간 사람은 원래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붙일 필요 없이 용의자를 심문하는 영상만으로 심장 박동을 측정해 거짓말 탐지에
활용
할 수 있다.감성인식을 연구하는 이의철 상명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역문제는 측정 가능한 데이터로 현상을 규명하는 것인데, 현재 측정 센서의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다”며, “측정 센서 기술과 측정한 ... ...
[수학동아클리닉] 삼각형의 세계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망을 설계할 때 이 들로네 삼각분할을 참고 모형으로
활용
한다.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이동할 때, 두 도시를 연결하는 도로가 없다면 다른 도시를 우회해 이동해야 한다. 이때 우회도로는 두 도시의 직선거리에 가능한 가까워야 한다. 들로네 삼각분할을 이용해 ...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매년 여름 발병하는 집단 식중독 원인균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을 수 시간 내로 ...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트는 특허로 등록돼 지역 보건환경연구원이나 대학 등에서
활용
할 수 있다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석권한 일본 리쓰메이칸대 ‘아이스봇(Ice_bot)’은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수학공식을
활용
해 대규모 병력을 자연스레 움직였다. 프랑스 낭트대 ‘아이어(Aiur)’는 대회 초반에는 승률이 60%에 머물렀지만, 동일한 상대와 90번 대결을 펼친 뒤에는 상대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여 73%로 승률을 끌어 ... ...
[News & Issue] 과학인가 사기인가 연구신뢰 흔드는 재현성 논란(上)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검정 절차는 지난 수십 년간 과학자들이 과학 이론 및 가설을 검증하는 수단으로 널리
활용
돼 왔다. 대학에서 듣는 통계학 수업은 결국 영가설 유의성 검정 절차를 적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즉 유의확률을 얻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여기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