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d라이브러리
"
활용
"(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강아지 눈에 나침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자세히 연구 되지 않았어요. 레오 페이츨 교수는 앞으로 포유류의 지구 자기장
활용
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저는 아무래도 페이츨 교수님의 연구를 더 도와 드려야 할 것 같아요. 여행 다녀오시면서 꼭 선물 사오세요~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999만 넣어 보아도 계산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대회는 지수법칙을
활용
하기 위해 애쓴 아이들을 칭찬하며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 ...
[과학뉴스] 암 RNA 이용한 만능 항암백신 나올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최근 면역반응을 활성화시켜 암을 치료하는 항암백신이 주목받고 있다. 독일 요하네스구텐베르크의대 우르가 사힌 교수팀은 다양한 암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 항원은 RNA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나노입자 백신을 다양한 암에 대한 만능백신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Knowledge] 티라노사우루스는 부채춤을 췄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이처럼 색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포유류보다 색을 훨씬 더 많이
활용
한다. 눈에 색수용체가 많기 때문이다. 파충류의 눈에는 보통 넷 또는 다섯 종류의 색수용체가 있다.포유류는 둘 또는 세 종류뿐이다.팔굽혀펴기에도 사투리가 있다몸짓을 이용해 의사소통을 하는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한진영 교수에게 말하지 않고 몰래 고쳤다) 역시 21세기는 위대했다. 앞으로도 AI를
활용
해야겠다고 결심하며 도출한 데이터를 확인하던 강선일 교수는 고개를 갸웃거렸다. 한 학생의 점수값이 아예 없는 것으로 도출되었기 때문이었다. 차윤정…, 2학년. 특별히 수업 때 기억이 나는 학생도 아니었다 ... ...
Part 5. 인공지능과 함께할 미래의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인공지능이 인간을 돕는 강력한 도구라고 생각한다”며, “알파고로 쌓은 기술을
활용
해 즉석 번역이나 스마트폰 비서, 나아가 의료 분야의 어려운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이세돌 9단 VS 알파고 인공지능의 무한도전!Part 1.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관찰하고 있답니다.돌고래의 언어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우주를 연구하는 데
활용
하기도 해요. 외계에서 오는 미지의 소리가 혹시 외계인이 보내는 언어는 아닌지 분석하는 것이지요. 과연 미래에는 사람이 돌고래와도 의사소통할 수 있고, 외계의 소리가 무엇인지도 들을 수 있는 날이 ... ...
[과학뉴스] 이타심까지 예측하는 ‘행복 방정식’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계산하는 방정식을 세웠다. 연구팀은 이것을 개인의 이타심을 예측하는 도구로
활용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예컨대, 돈을 함께 땄을 때를 좋아하는 사람일수록(죄책감이 큰 사람) 이타적이고, 타인이 돈을 같이 잃어야 행복해하는 사람일수록(질투가 큰 사람) 덜 이타적이라는 것이다. 아르쉬 데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첫 성공이었다(Nature 461, 367-372 (17 September 2009)). 그 다음 해에는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
해 인간 난자의 미토콘드리아를 바꾸는 데에도 성공했다.잇따른 성공에 가장 먼저 움직인 것은 영국이다. 영국 인간 수정 및 배아관리국(HFEA)은 2011년 세 부모 아이에 대한 보고서를 내놓으며 과학적 안정성을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브라질 상파울루대 학생들은 비행기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종류별로 분리되거나 재
활용
되지 않고 그대로 버려지는 문제점에 주목했다. 양만 해도 매년 135만t에 달한다. 학생들은 승무원들이 쓰레기가 발생하는 순간 바로바로 분리해서 버릴 수 있도록 손수레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설계했다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