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생아도 숫자 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수를 인식하는
능력
을 갖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베로니크 이자드 교수팀은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이들이 소리의 횟수 ... 식이다.수 개념을 단순한 훈련이 아니라 추상적 사고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건 오직 인간만이 가진
능력
이다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꿔 적에게 혼란을 준다.오징어는 홍길동처럼 갑자기 적의 시야에서 사라져버리는
능력
도 있다. 평소에는 다리를 모아 앞으로 하고 몸통 가장자리에 있는 지느러미를 이용해 조용히 헤엄치지만 급박한 상황에 처하면 몸속에 머금었던 물을 한꺼번에 내뿜어 그 반동으로 튀듯이 움직인다. 이 동작이 ... ...
2010 대입 입학사정관제 2만 695명 선발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응시과목 2개 축소 추진 현재 중학교 2학년이 치룰 2014학년도 대학 입시부터 대학수학
능력
시험 응시과목이 2개 줄어들 전망이다. 이에 맞춰 2011년부터 초·중학교 교과군이 축소되고 고교 교과군도 영역별로 재편성되는 등 교육과정에 변화가 생긴다. 교육과학기술부가 6월 30일 제출한 미래형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우울증 치료는지난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공인받았다.귀신을 보는 ‘
능력
’은 단순히 특별한 각막을 이식받는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 같지 않다. 현대 과학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설명은 특별한 장소에서, 특별한 뇌를 가진 사람이 보통 사람과 다른 존재를 느낀다는 것.하지만 일식이나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와 함께 수확량 증가도 육종의 큰 성과”라고 말했다.보리는 원래 물을 흡수하는
능력
이 쌀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에 예전엔 쌀과 섞어 밥을 지으려면 미리 한 번 삶아야 했다. 육종학자들은 물을 잘 흡수하는 보리와 보통 보리를 교잡한 찰보리 품종을 19가지 개발했다. 찰보리를 넣은 보리밥은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행동을 따라하도록 진화했다는 뜻이다.그는 “앞으로 잔가시고기 외에도 사회적 습득
능력
을 가진 동물이 더 있는지 추가로연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행동 생태학’ 4월호에 소개됐으며,‘사이언스 데일리’가 6월 17일 보도했다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내수압 3000mm’와 같은 표기가 있는데, 내수압이란 텐트나 타프에 쓰인 원단의 방수
능력
을 알려주는 수치예요.” 지름 10mm의 원통을 원단 위에 세운 뒤 안쪽으로 물이 스며들기 시작하는 물기둥의 높이를 재 내수압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가랑비에 견딜 수 있는 내수압 수치는 500mm, 폭우에 견딜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않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배 밑바닥을 V자 형태로 만들어 속도를 내려다 보니 쇄빙
능력
에 문제가 있었고, U자 형태로 만드니 깨진 얼음이 배 바깥으로 신속히 떨어져 나가지를 않았습니다. 결국 수차례 설계를 변경하며 고심한 끝에 최종안을 만들었죠.”과학계에서는 아라온 호 덕분에 한국이 ... ...
식품 속 거품의 핵심은 계면활성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용하는 흑맥아는 당 함량이 높아 액체 자체가 끈적끈적하기 때문에 거품을 잡아 두는
능력
이 더 좋다. 하지만 거품이 많다고 무조건 좋은 것만은 아니다. 맥주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첨가하는 ‘호프’라는 물질도 단백질이라서 거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지만 특유의 쓴맛 때문에 많이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물론이고 과목교사들이 작성하는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도 마찬가지다.특히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은 학생의 평소 학교생활을 짐작할 수 있어 입학사정관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이다. 하지만 이 항목을 제대로 작성하는 경우는 전체 학교의 30%에 지나지 않는다. 담임교사가 아닌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