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동에서만 보이는 현상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밟고 있으며 파인만학원에서 심층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자연을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능력
을 키우고 자유로운 사고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과학의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 ...
매스큐브와 함께 수학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말에 귀를 기울여 봐요!선생님, 수학을 왜 공부해야 하나요?수학을 공부하면 생각하는
능력
이 좋아지기 때문이에요. 21세기는 기발한 상상력과 창의력이 국가 경쟁력인 시대예요. 이에 발맞추어 미래의 주역인 학생은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도록 수학을 배워야 합니다.그러면 수학을 잘 할 수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CCD가 장착된 허블 우주망원경을 올려놓았다. CCD는 기존의 필름보다 빛을 감지하는
능력
이 1000배 이상 뛰어났다. 이런 CCD의 활약으로 오늘날엔 지구에서도 선명한 별빛이 찍힌 사진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CCD는 세포나 조직의 변화를 관찰하거나, 작은 구멍을 통해 수술하는 ... ...
“잠 부족해서 생기는 기억력 감퇴, 약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부족하면 기억력과 학습
능력
이 떨어진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이 문제를 약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브랜다이즈대 크리스토퍼 벡시 박사팀은 ‘로리프람’이라는 약물이 수면 부족 시 활성화되는 PED4 효소의 작용을 억제해 기억력 감퇴를 예방한다고 10월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년 사이 경간 길이가 두 배가량 길어졌다.조 박사는 “장대교량에서는 경간을 길게 하는
능력
이 곧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올림픽대교와 서해대교, 영종대교도 대표적인 사장교다. 현재 목포의 목포대교와 부산~거제를 연결하는 거가대교에도 사장교 구간이 건설 중이다. 사장교를 만드는 이유는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에틸렌-전이금속에 총 12개의 수소분자를 결합시킬 수 있음을 계산해내 약 16%의 수소 저장
능력
을 갖고 있는 수소저장장치를 모델링했다. 김 군은 KAIST 화학과 이윤섭 교수에게 3년 동안 지도를 받아 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다.서대전고 김지용 군은 천안중앙고 이재선 군, 북일여고 한빛나라 양과 함께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일본이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는 재료분야 연구
능력
을 갖고 있는 만큼‘폭발력’을 경계해야 한다는 얘기였다. 실제로 일본은 최근 관련 학술회의를 활발히 개최하며 새로운 반도체의 출현에 대비하고 있다.미국에선 광자나 전자 스핀으로 새 반도체를 만들기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기계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 직접 체험해 보는 게 좋아. 몸으로 느끼면 직관적인 인식
능력
을 기를 수 있거든. 종이로 정삼각형 접기 종이는 도형을 공부할 때 아주 좋은 도구야. 그림만 보는 것보다 실제로 도형을 만들어 보면 원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어. 여기에서는 종이로 정삼각형을 접는 ... ...
부모의 사랑으로 수학 성적이 쑥쑥!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실력을 높이려면 아이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주세요. 미국 아이들의 수학실력과 읽기
능력
을 연구한 결과, 어렸을 때부터 부모와 시간을 보내며 보살핌을 잘 받은 아이들이 더 좋은 성적을 얻었습니다.보스턴칼리지와 하버드교육대학원, 샘포드대학교 공동연구팀은 국립 아동보건 및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내는
능력
이 뛰어나다. 앵무새는 사람의 말을 흉내 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새의 이런
능력
에도 FOXP2가 관여하지 않을까. 2004년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유전학연구소 콘스탄세 샤르프 박사팀은 새에도 FOXP2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사람과 비교한 결과 아미노산 서열이 98% 같았다.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