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뉴스
"
관측
"(으)로 총 4,050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 ‘천리안 2A호’가 3만6000㎞ 상공에서 본 지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한국이 독자 개발한 첫 정지궤도위성인 기상위성 '천리안 2A호'가 상공 3만6000㎞에서 26일
관측
한 지구의 모습.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국항공우주연구 ... 원하는 성능의 자료가 생산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전구
관측
타임랩스 영상 https://youtu.be/ojhtau4GwE ... ...
'천연색으로 본 구름속 한반도' 천리안 2A호 첫 영상 공개
2019.01.29
한 달 간 오염물질 제거 작업을 완료한 후 기상탑재체의 경통 커버를 열고 26일 첫 영상을
관측
한 것이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가기상위상센터가 기상 탑재체의 정상 동작 여부를 점검하는 등 운영 준비를 끝내는 올해 7월부터 천리안 2A호는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사용자에게 영상을 ... ...
버진갤럭틱도 살뺀다…우주기업들 상업서비스 앞두고 구조조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인력 감축 결정을 내리면서 본격적인 상업화를 위한 몸집 줄이기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관측
이 나온다. 미국 매체 NM폴리틱스에 따르면 버진갤럭틱은 최근 미국 뉴멕시코주 라스 크루세스의 지사 직원 3명을 포함해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본사 직원 등 40여명을 해고했다. 알레나 크랜 버진갤럭틱 ... ...
남극해에서 ‘솟아오르는 맨틀’ 발견…‘맨틀 표준모형’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호주-남극 부정합’이라는 지형 동쪽에서 납과 스트론튬 동위원소의 비를 측정했다.
관측
결과, 해당 지역의 맨틀의 동위원소 구성비가 주변과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이렇게 구성비가 다른 구간이 해령을 따라 가늘고 길게 뻗어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이 지역에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 ...
"미세먼지 씻을 비는 내리지 않았다" 인공강우 사실상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전후 구름 내부의 강수 입자 변화 상세 분석, 기상 선박과 도시대기측정망의 미세먼지
관측
및 분석 결과 등이 포함된다. 김종석 기상청장은 “인공강우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선 다양한 조건에서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한다”며 “실험의 성공 여부를 떠나 이번 ... ...
대기권 재진입 마찰열로 원두 볶은 커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이다. ‘우주비행사 커피’를 만들기 위해서는 커피콩이 우주를 다녀와야 한다. 기상
관측
용 대형 풍선에 콜롬비아에서 온 커피콩 454g이 실려 우주로 날아간다. 변 씨는 고도 48㎞ 정도까지 올라간다고 추정했다. 통상 우주경계로 치는 고도 100㎞까지는 살짝 못미치지만 성층권과 중간권 사이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하와이 킬라우에아 분화가 남긴 숙제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6
연구팀은 용암이 흘러내린 양과 칼데라의 지반 침하 정도가 0.8 k㎥로 서로 유사했다는
관측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중앙의 화구가 아닌 기다란 열극을 통해 화산이 분출되는 것을 뜻하는 ‘열극 분출’과 산 정상의 칼데라 붕괴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결국 이번 킬라우에아 화산 ... ...
미세먼지 저감 위한 인공강우 미션 기상항공기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실험으로 국립기상과학원은 인공강우 물질을 살포한 뒤 구름과 강수입자 변화를
관측
하고, 국립환경과학원은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한다. 기상청은 보도자료를 통해 "실제로 비가 얼마나 내렸는지에 대한 결과를 28일, 미세먼지 저감효과에 대한 결과는 한달 뒤 발표할 예정"이라 밝혔다. ... ...
"미세먼지는 모두 중국탓은 틀린 말"…국내외 배출원 더 정교하게 분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미치는 중국의 기여도는 기상패턴의 변화에 따라 크게 다르다"며 “전체 연구 기간 중
관측
된 미세먼지 약 50%가 중국발로 분석됐지만 기간에 따라 낮고 높음의 차이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 배출원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항상 바뀐다”며 “미세먼지 예측과 ... ...
슈퍼 울프 블러드문이 뜬 그날, 유성체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19.01.25
빛을 포착했다. 마이다스는 유성체가 약 96kg 정도 무게에 지름은 30cm를 넘지 않을 것으로
관측
했다. 유성체의 출처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호세 마리아 마디에도 마이다스 소장은 “지구로 떨어지는 대부분의 물체들은 혜성으로부터 떨어진다”며 “달도 그렇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밝혔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