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d라이브러리
"
물리
"(으)로 총 6,1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수학, 놀라운 속도로 발전"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기업 등 각계가 수학연구에 필요한 인프라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다.“
물리
, 화학, 공학 등 개별 학문 분야에서 풀리지 않는 문제를 수학자들과 같이 풀면 의외로 쉽게 풀 수 있습니다. 수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 보면 답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미네소타대에 위치한 ‘수학 및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되는지를 알아내는 문제다.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은 갈릴레이의 제자로 수학자이자
물리
학자였던 토리첼리가 17세기에 처음 찾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200여 년이 지난 19세기에 슈타이너가 기하학적으로 증명해냈다. 한편 피에르 페르마는 삼각형으로 같은 문제를 제시했었다.그럼 육각형의 ... ...
수학과
물리
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기체로 바뀌는 것처럼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조용승 교수는 “수학자와
물리
학자가 만나 5년간 함께 연구한 결실”이라며 “앞으로 이 이론을 활용해 초기 우주 모형을 완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땅과 맞먹는 면적이다.2002년 미국 스크립스해양연구소의
물리
학자인 그랜트 딘과 데일 스토크스는 캘리포니아 바다와 실험실 물탱크에서 부서지는 파도를 분석해 바다 거품의 크기와 개수가‘멱함수 법칙(power law)’을 따른다는 사실을 확인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 외에 단순히 땀샘을 막아 땀의 분비를 억제할 수도 있다. ‘염화알루미늄’은 땀샘을
물리
적으로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염화알루미늄은 물과 결합해 염산을 만들기 때문에 피부를 자극한다. 따라서 약을 바르기 전 반드시 해당 부위를 잘 말려야 한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바르는 것도 좋은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생명 존중’이 아닌 다른 목표를 갖고 있어도 의학을 전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
에 관심있는 K학생은 인체와 같이 정밀한 로봇을 만들기 위해 직접 인체를 탐구하기 위해 의학을 배울 수 있다. 또 의공학을 공부해서 인공뼈나 인공장기를 만들겠다는 꿈을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 ...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천체운동을 체계화한 수학자 피에르 라플라스, 실험으로 비눗방울의 특성을 파악한
물리
학자 조제프 플라토까지 많은 학자가 비눗방울을 실험하거나 이론적으로 연구해 최적화 문제의 해법을 밝히는 데 기여했다.비눗방울과 비누막은 일반인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학적인 탐구 대상이다. ... ...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살아 있는 세포의 단백질이 내는 약한 빛으로 레이저를 만들었다. 윤석현 하버드대 의대 교수와 몰터 개더 박사후 연구원은 배아 단계의 사람 신장 세 ... 온라인판에 6월 12일 게재됐다. 윤 교수는 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로 임용됐는데, KAIST
물리
학과를 졸업한 토종박사로 화제가 됐다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점차 얇아져 떨어지려는 순간 입을 닫아 기둥 위쪽을 끊어 먹는다.연구자들은 이 과정을
물리
학의 표면장력과 관성, 중력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했다. 즉 혓바닥 끝이 우유에 닿으면 우유의 물분자가 혀 세포 표면에 착 달라붙어 혀가 올라갈 때 딸려 올라간다. 그러면 이 물분자와 인력으로 묶여 있는 ... ...
Intro. 신의 입자 vs. 어둠의 입자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유럽입자
물리
학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에서 유출됐다. 5월 2일 미국
물리
학회총회에서는 우주를 지배하는 미지의 입자인 ‘암흑물질’ 때문으로 추정되는 특이한 관측자료가 발표됐다. 불과 20일 전인 지난 4월 13일, 다른 연구팀이 암흑물질은 없다는 정반대 결과를 낸 다음이라 흥분은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