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3,084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이공계
학과
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06
그러나 현대공학 분야들은 자연과학적 성과에 그 원천을 두고 출현하여 더욱 자연과
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현대공학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전자공학은 양자역학 소립자론 등 현대물리학 분야의 발전으로 탄생한 공학분야다. 1950년 무렵까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작용시키는 전자류의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06
분위기가 팽배해 있었다.이휘소는 55년 2월 오하이오주에 있는 마이애미대학 물리
학과
에 등록함으로써 유학 생활을 시작한다. 이후 58년 피츠버그대에서 석사과정을 마쳤고 60년 12월 펜실베이니어 대학에서 'K이온 중간자와 핵자현상의 이중 분산 표시에 의한 분석'이란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06
금세기 최대의 성과인 상대성이론에 반기를 든 과학자도 없지 않았으나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계속 입증되고 있다.1915년에 아인슈타인(Einstein)이 발표한 일반상대성 이론은 한마디로 17세기에 뉴턴(Newton)이 만들었던 중력(만유인력)의 이론을 더 정밀한 이론으로 개량한 것이라고 말할 수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06
레이저가 오늘날 물리학의 숙제인 핵융합발전의 중요한 기기가 되고 있는 것처럼.특히 과
학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맞물리지 못했던 현재까지의 우리의 관행은 기술자립의 강조로 인해 앞으로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에의 지원강화와 공학분야의 전문성 강화, 즉 석박사인력의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05
역사'(연사 최현일, 한국동력자원연구소 근무)와 과학사를 전공한 수원대 물리
학과
곽영직 교수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5월에는 지역 국악인들이 실제연주를 들려주며 소개하는 '한국의 전통음악'(5월5일)과 당면한 에너지 문제를 조명해보는 '에너지위기'가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지난 3월의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05
: 무생물체의 운동과 상호작용을 주관하는 역학, 생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생물
학과
해부학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을 모두 수용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영화대본을 집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영화가 만들어져 나오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연구책임자인 젤처교수가 만든 ... ...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05
군사용으로 쓰이던 컴퓨터는 IBM/360의 개발을 계기로 산업용으로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전쟁은 끝났다!'(War is over!)라고 쓰여진 호외가 뉴욕시내 곳곳에 뿌려졌다. 시민들은 환호하였고 그 지루하고도 참혹했던 제2차세계대전은 마침내 완전히 종말을 고했다. 2차대전의 숨을 완전히 끊어버린 것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05
및 대규모 물질분포에까지 이른다. 90년에 조직된 적외선천문학팀은 물리
학과
와 함께 당분간은 세계최대가 될 하와이 케크(keck)천문대의 적외선 사진기 개발을 마무리 하고있고 또 신설된 천체물리학 그룹은 독자적인 교육과정을 개발, 운영 중에 있다.이 중에 내가 연구하고 있는 분야는 특이은하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05
정착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서울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에만 의과대학내에 법의
학과
가 있는 실정. 아울러 대부분의 장비를 외국에서 들여와 쓰고 있는 것에도 눈을 돌려 국내 과학계가 수사장비의 국산화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연구원들은 연구소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변하기를 원하고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04
이것은 자연과학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이 흔히 갖는 고민이다. 과거에는 KAIST 들어가면 입
학과
동시에 병역특혜가 주어졌는데 이것은 대단한 '당근'이었다. 그러나 일반대학에 석사장교(특수전문요원)라는 특례제도가 도입되면서 그 당근의 위력은 반감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특수전문요원과 KAIST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