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d라이브러리
"
큰길
"(으)로 총 3,079건 검색되었습니다.
「특허의 상품화」 장애물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세계적인 대발명들이 왜 빛을 보지 못하는 것일까? 그 원인과 대책을 알아본다.발명계에는 '백삼당'(百三當)이라는 말이 널리 퍼져 있다. 1백가지가 발명되면 세개 정도가 상품화된다는 말이다. 그만큼 발명품이 생활에 실용화되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물론 이 말에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 ...
말이 씨가 되었지만…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별 생각없이 간호학과를 택했지만 고달픈 병원실습을 통해 점차로 진짜 간호사가 되어가고… 4학년이 된지도 벌써 여러 주일이 지나갔다. 요즘 학교 안에는 진달래가 한창이다. 두어주 후면 진달래도 완전히 져서 학교는 온통 파란색으로 바뀔 것이고, 지금은 학교 안을 바삐 돌아 다니는 1학년 신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언제나 어디서나 자유로이 통화할 수 있는 값싸고 편리한 이동통신장비가 개발되고··· 알다시피 초기의 무선통신은 도전식(導電式)이었다. 이 방식은 양끝을 접지한 전선을 공중에 팽팽하게 설치한 뒤 이 전선에 전류를 흘린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반대편에는 전선을 설치, 전류를 검출했다.그 ... ...
PART Ⅴ 선박설계·생산자동화시스템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주문에서 선박인도까지 전과정을 컴퓨터와 로봇을 이용, 자동화한다.우리 조선사업이 세계 최대의 조선국 일본의 턱밑에까지 추격한 적이 있었다. 지난 87년 우리나라의 선박 수주량(受注量)은 4백16만 t에 이르러 일본의 90%선에 육박했었다. '타토 일본'의 기치를 내걸고 조선산업 종사자들이 피땀 ... ...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미로(迷路)를 달리는 작은 로봇, 즉 마이크로마우스는 로봇의 내일을 점치게 한다.미로를 달리는 로봇을 제작, 시발점에서 종점까지 이르는 시간을 다투는 경기가 바로 마이크로 마우스 대회다. 이 경기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일곱 차례 개최됐는데 올해에도 제8회 대회가 서울대학교 제어계측공학 ... ...
중3병 고3병 대4병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 기형 질환이 발생하는 것은 성적 때문만이 아니다. 성적문제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그 진짜 원인은…필자의 스승인 고 한동세교수가 1972년에 발표한 논문이 있다.'한국의 교육열이 빚어낸 신종병'(新種病)이라는 부제(副題)가 붙어 있는 '고3병과 중3병'이라는 제목아래 서문은 다음과 같이 ... ...
대덕시대 들어선 KAIS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번 학기에는 강의 위주로 진행되고 내년부터 실험 및 연구기능이 본격화 된다.과학기술원(KAIST)의 대덕시대가 개막됐다. 한국 과학기술 인력양성기관의 대명사로 알려진 과학기술원은 지난 3월 3일 대덕 캠퍼스에서 석사과정 신입생 6백5명에 대한 입학식을 가졌다.이로써 허허벌판에 썰렁한 공사 ... ...
PART 1 로보틱스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로봇의 머리 몸 눈 팔 손에 해당하는 부위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인간의 모습을 하고 인간처럼 행동하는 로봇은 예나 지금이나 꽤 인기가 있다. 실제로 인간을 많이 닮은 로봇에 대한 수많은 공상과학소설이 나왔다.로봇을 주제로 한 첫 번째 소설은 메리 셀리가 지은 '프랑켄슈타인'이다. 1817년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아직도 빙하가 흘러내리는 빙식지형이 잘 발달된 비글해협. 남극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이 지역의 지질학적 가치가 커지리라 예상된다.흔히 남아메리카의 끝으로 알려진 마젤란해협보다 더 남쪽에 위치한 비글해협은 마젤란해협의 남쪽 육지를 이른 '불의 땅'이라는 의미의 '띠에라 델 푸에고'섬과 ... ...
작은 꼬인 빛 Tiny Twisty Ligh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천문학의 가장 큰 수수께끼의 하나는 잃어버린 질량의 신비다. 지난 1월 몇몇 천문학자들은 잃어버린 질량은 어느 정도 볼 수 있게 할 수도 있다고 안했다.잃어버린 질량은 볼 수 없거나 확인될 수 없지만 천문학자들이 있다고 확신하는 우주 안의 물체에 속한다. 그들은 그것이 무엇인지 무엇일 수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