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건물을 꼭 완성해야 할 중대한 이유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스톤헨지의 여름축제
천문
(天文)을 이해하는 것은 계절을 아는 것이며 계절을 알아야 농업이나 목축같은 경제생활을 잘 할 수 있는 법이다. 더 나은 경제생활을 지향하는 것은 세상 어떤 것보다 사람에게 중요한 일이다. 그래서 그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달의 행성금성저녁 황혼속으로 사라져 보이지 않는다.화성양자리에서 황소자리로 움직이며 밝기는 1등급이다. 이달 하순경에는 히아데스 성단과 플레이아데스 성단 사이에 놓이게 된다.목성여전히 사자자리에 위차하며 밝기는 -1.3등급이다.토성0.5등급의 밝기로 염소자리에서 찾을 수 있다.7월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제조에 성공한 과학자들은 엉뚱하게도
천문
학자들이었다. 이들은 1970년도 중반에 전파
천문
학적 관찰결과로부터 은하계에 탄소로 이뤄진 화합물이 있음을 확인하고 이 화합물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한 실험들을 해왔다.1984년 미국 뉴저지의 엑슨(Exxon)석유회사의 연구소에서 흑연을 레이저광으로 ... ...
ET 탐색 작업에 나선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4만5천W의 전력을 내게 되므로 그 주변이 엄청나게 뜨거워지는 탓이다.1974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ET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이 거대한 '확성기'를 사용한 바 있다. 이제 겨우 18년이 흘렀다 ... ...
신혜성 「슈메이커─레비」 곧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좋은 조건에서 자신의 모습을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1991년 10월6일 미국 팔로마산
천문
대의 46cm 슈미트카메라로 찍은 필름에서 슈메이커와 레비는 희미한 혜성상을 발견했다. 곧이어 신혜성임이 밝혀졌고 표준등급이 7.5 등급으로 계산됐다(발견 당시의 등급은 약 16등급). 표준등급이란 혜성이 ... ...
우주탄생의 잔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정체와 초기 우주에서 생성된 물질의 불균일성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천문
학자들은 관측을 통해 또 이론을 통해 은하의 형성 시기와 메커니즘을 연구하고 있다.이러한 문제들이 풀려져 나갈 때 우주의 기원과 진화에 대한 해답이 주어지고, 인간의 우주에 대한 과학적 철학적 인식이 ... ...
지구가 끄는 힘, 중력의 의미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된다.중력은 중력 가속도에 의해서 기술된다. 이제 완전히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천문
학으로 돌아와 중력가속도에 관해 학습해 보자. 이 분야는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물리학과 완전히 일치한다. 속도와 가속도먼저 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가장 기본적인 용어의 하나인 속도부터 살펴보기로 ... ...
멀리있는 실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필름을 이용하면 우주는 갑자기 그 아름다움을 자태뿐 아니라 색깔로 나타낸다. 물론
천문
학자들은 필름으로부터 얻은 그 천연색 영상이 과연 '현실'인지 잘 몰라 저 멀리로 직접 방문해 자신들의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왜 그 많은 성운들이 모두 꼭같이 어두운 ... ...
우주 암물질의 비밀규명 박차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소행성 또 작은 블랙홀이라면 추정이 아닌 설명이 가능해야한다. 바야흐로 미국의
천문
학자들이 이 암물질 규명에 도전하고 있다.연구자들이 붙잡고 있는 단서는 하나. 이 암물질들이 탐사위성이 추적하고 있는 우주공간의 감마선을 굴절시킨다는 것이다. 작년에 NASA(미항공우주국)의 컴프텀 감마선 ... ...
역사상 가장 불행한 수학자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서지 않았다는 것 외에는 특별히 불행했다고 볼만한 사실은 없다. 오히려 괴팅겐의
천문
대장으로 생애의 대부분을 보냈는데, 연구에만 몰두한 행복한 삶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사망한 뒤에도 가우스는 '수학자 중의 왕자'로 불리게 된다. 20세기 초의 수학자인 클라인은 '가우스에 견줄만한 과학상의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