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비움의 미학’ 실현하는 3D 프린팅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외에도 좌석을 지탱하는 하단 부분이 둔탁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졌다. 하지만 좌석의 모든 부위가 사람의 체중을 싣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물리적으로 필요 없는 부분을 과감하게 생략해 사람의 뼈처럼 구멍이 숭숭 뚫려 있는 모양으로 ‘살빼기’를 했다.하지만 기존의 생산기술로는 이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역할에 맞춰 필요한 형태를 직관적으로 구상한 뒤, 부품 위에 그물을 그리듯 부품의 모든 영역을 잘게 쪼갠다. 부품 전체에 힘을 줬을 때 작은 영역 하나하나에 걸리는 힘을 비교해 힘이 적게 걸리 는 부분을 조금씩 없애 무게를 줄인다.이렇게 부품이 차지하는 공간은 변하지 않으면서 모양이 ... ...
- Part 1. 산업수학 창시자 존 오켄돈 인터뷰, 산업수학이 할 일은 무궁무진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들어 석유가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있는 식을 만든다고 합시다. 석유가 될 만한 모든 조건을 변수로 두고, 각각의 조건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는지에 따라 가중치를 줘서 식을 만들어야겠지요.하지만 이를 정확하게 알고 식을 세우기란 사실상 어렵습니다. 따라서 오차가 발생하지요. 이런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가지 세계 어딘가에서 100% 실현돼.어느 쪽이 더 ‘일어날 법하다’고 생각되나? 가능한 모든 결말이 일어났는데 내가 사는 세계에서는 고양이가 죽었을 뿐이라고 보는 게 더 그럴듯하지 않나? 1만 번 중 9999번은 고양이가 죽지 않고, 딱 한 번만 죽는 희귀한 사건이 일어났다고 믿는 것보다 말이야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힌트 하나. 물은 왜 아래로 흐를까?지구의 모든 물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요. 물도 마찬가지예요. 중력은 항상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지요. 그래서 공중에서 물체를 놓으면 지면으로 떨어지는 거랍니다.반대로 중력이 없는 우주에서는 물체가 둥둥 ... ...
-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그러나 아키네이터의 뒤에 있는 강력한 배후를 발견했습니다. 그 이름은 바로 컴퓨터가 모든 사람과 사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웹인 ‘시맨틱 웹’입니다.1993년 이래 웹은 지식이 쌓인 창고였지만, 컴퓨터가 스스로 지식을 다루는 건 무리였습니다. 그래서 컴퓨터가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출신이든 이과 출신이든 수학 수업을 들어야 하지요. 미분적분학, 선형대수학, 확률은 모든 생도들이 배우는 공통 과목입니다.수학적 사고가 어떻게 이용되는 건가요?현대전에서는 지휘관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중요합니다. 수학 이론을 적용하면 더욱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지휘관은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똥을 짜낸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똥은 압출되는 대신 미끄러진다”고 말했습니다. 모든 포유류가 배변 때 밀어내는 압력이 비슷하기 때문에, 그 정도 힘만으로 코끼리가 거대한 똥을 밀어 내기란 쉽지 않을 거라고 본 겁니다.연구팀이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된다. 실제로는 모든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김 교수는 하모니 서치로 모든 직선에서 거리가 가장 짧은 점을 계산해 소실점을 찾는 법을 연구하고 있다. 외계행성 우주에서 제2의 지구를 찾아라!하모니 서치는 외계행성을 찾는 데도 쓰였다. 유럽우주국이 2010년 지구에서 1500광년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인지하기가 어렵다. 또 암세포가 워낙 다양해서 항원 역시 종류가 많기 때문에 모든 항원을 공격대상으로 인지하고 일일이 반응하기 쉽지만은 않다. 면역체계가 인식을 한다고 해도 암은 스스로 특정 단백질을 발현하거나 신호 전달 물질인 사이토카인 등을 분출하며, 숙주의 면역체계를 피해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