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달과 행성들이다. 달의 경우 보름달일 때보다는 초승에서 상현, 하현에서 그믐달까지가
관측
하기에 좋다. 이때 밝고 어두운 부분이 또렷하고 분화구에 그림자가 져서 입체적으로 멋진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목성은 줄무늬와 함께 갈릴레오 위성이라고 불리는 네 개의 위성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별을 기록해도 좋다. 혜성은 별과 달라서 퍼져 보이므로 처음에는 쉽지 않다. 이러한
관측
은 과거 망원경이 없을 때 천문학자들이 행하던 전통적인 방법이다. 사진으로 남기려면햐쿠다케혜성을 본 다음 필름상에 기록해두고 싶을 것이다. 이처럼 밝은 혜성은 사진찍는 일이 그리 어렵지 않다. 흔히 ... ...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기후 변화에 따른 적도 태평양의 역할연구(TOGA)등이 있다. 1990년대에는 세계대양 해류
관측
실험(WOCE)과 해양대기육상간 지구환경변화연구(GOALS) 등이 추진되고 있다.그러나 심해환경 연구에 대한 비난도 없지 않다. 선진국 수준으로 요구하는 심해환경 연구를 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드는데, 후진국은 ... ...
2. 바닷속 파이어니어 심해탐사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1960년대에 들어서서 실용화되기 시작했다. 무인탐사로봇은 과학 분야에서 해저
관측
과 시료 채취를, 군사 분야에서 기뢰 제거와 구난 작업을, 환경 분야에서 해양오염 제거와 해저 준설을, 자원개발 분야에서 석유 탐사와 심해저 망간단괴 채광을, 그리고 산업 분야에서 해저 광케이블을 매설하거나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행성이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하지만 마시와 그의 동료 P. 버틀러는 별의 스펙트럼을
관측
해 행성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별 주위에 무거운 행성이 있으면 스펙트럼에 도플러이동이 나타나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들은 릭천문대의 3m 쉐인망원경을 이용해 별이 움직이는 속도를 측정했다.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히야쿠타케혜성은 한동안 극 주위를 도는 주극성이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쉽게
관측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히야쿠타케혜성은 97년 봄 밤하늘을 장식할 헤일-밥혜성과 더불어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발견했을 때 10등급에 머물렀던 히야쿠타케혜성은 3월 말이 되면 1등급에서 0등급에 이를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관성계에서 물리법칙은 어떤 곳에서 바라보아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원리.관성계
관측
자가 일정한 상대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물리적 상태를 말한다.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기차 안의 승객들은 각각 관성계에 속한다. 관성계와 달리 가속계는 속도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물리적 상태다.관성질량과 ... ...
적외선에 미지 우주비밀 숨어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것을 담는 일종의 마법병이 차지하고 있다.이 액체헬륨이 하는 일은 반사망원경과
관측
기기를 절대온도 4도로 냉각해 적외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ISO의 수명은 18개월. 헬륨이 증발해 없어지면 ISO의 수명도 끝나게 된다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974년 보이지 않는 동반성과 쌍성을 이루고 있는 펄사(pulsar, 강한전파를 내는 중성자별)를
관측
했다. 이 두 별은 불과 해의 반지름 거리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서 초속 약 3백km의 엄청난 속도로 약 8시간마다 서로 공전하고 있다. 이 쌍성이 방출하는 중력파는 에너지를 빼앗아 달아나기 때문에 두 ... ...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값이 전자의 속도가 커짐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질량 증가 현상은
관측
자의 속도가 빛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따라서 아무리 훌륭한 우주선을 만들어도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다는 것이 특수상대성이론의 주장이다. 예언5. 질량은 곧 에너지다 E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