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패스
합격
허가
투과
가결
통행
성취
d라이브러리
"
통과
"(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우주 망원경, 이번 가을 케네디우주센터로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때문에 대기는 지상에서 먼 거리를 관측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또한 일부가 대기권을
통과
해도 낮에는 산란되기 마련이며 밤에는 구름 안개 등으로 가리워진다. 따라서 대기권 밖에서 우주를 보면 대기의 장애를 벗어날 수 있는 것.명왕성이나 블랙홀 관측도 기대이처럼 장애, 간섭없이 먼 우주를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월25일 오후 1시) 보이저2호는 계획대로 해왕성 북극점으로부터 약 4천8백㎞떨어진 지점을
통과
하면서 신비의 행성으로만 간주돼왔던 해왕성의 모습을 지구로 전송해왔다.보이저2호의 해왕성탐사에서 1차적인 성과로 부각된 것은 새로 발견된 6개의 위성과 5개의 고리이다.최근까지만 해도 해왕성의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인하여 떨어진 조면안산암과 조면암 돌조각들(탤러스)이 너무 많아 엉금엉금 기어서
통과
해야 한다. 돌이 자꾸 구르기 때문에 여러명이 한꺼번에 오르내리기는 어렵다.1백여개의 온천군(群)장백폭포를 뒤로 두고 6백m 정도 걸어 내려오니, 길 오른쪽에 해발 2천m되는 곳에 가마솥처럼 수증기가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학사과정연구생은 입학 후 2년 이내에 학사학위논문제출 자격시험에서 전과목에 걸쳐
통과
되어야 하고 정해진 연구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에 소속 연구원에 학사학위 논문을 제출하여야 한다.연구생은 연구원에서 전임으로 연구할 필요는 없고 각자의 직장에서 연구를 수행하되 2개월에 1회는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되돌아 올 수 없다면 실제로 시간을 거슬러 과거로 가는 여행을 할 수 없고 비록 웜홀을
통과
했다고 할지라도 은하사이의 공간을 순간적으로 여행한 것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횡단 가능한 웜홀을 만들 수 있는가'하는 문제는 물리학자들에게 흥미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 문제는 우리들에게 우주는 ... ...
PARTⅠ지구에 어떤 영향을 주나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일부는 반알렌벽을 뛰어넘는다. 특히 태양활동의 고조기에는 더욱 쉽게 '벽'을
통과
한다.이렇게 빠져나온 자외선을 장기간 쬐면 우리의 피부는 손상을 받는다. 일종의 화상을 입는 것이다.고려대 의대 김수남교수(피부과)는 "특히 여름철에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지나친 피부노출을 삼가는 ... ...
양자물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선회하기 위해서는 각 운동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자내부의 전자는 단지 원자핵을
통과
해 왔다 갔다 하거나, 원자핵 주위를 원운동하는 파동이다. 전자는 궤도 원둘레(2πr)가 전자파장의 정수배(nλ)가 되는 양자 조건을 만족하는 궤도에서 안정하게 존재하게 된다.10. (2)전자궤도의 원둘레는 전자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장애물에 의해 전혀 차단되지 않은 채 그대로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무엇이든 그대로
통과
하는 뉴트리노를 지상에서 관측하기 위해서 사염화탄소(C₂Cl₂)가 뉴트리노와 반응, 아르곤(Ar)으로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외부로부터 다른 입자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하 깊은 광산 속에 약 4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파를 형성하여 어느때에는 남북 방향으로 곧게 서기도 한다. 히말라야산맥 등 큰 지형을
통과
할 때에는 두개로 갈라지기도 한다.회전수조 실험지구상의 바람은 간단한 회전수조의 실험을 이용하여 재현할 수 있다. 구가 아닌 평평한 지구를 가정하여 회전수조의 중심을 극으로, 가장자리를 적도로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시공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한편 원자력안전센터는 "발전소부지를
통과
하는 주요 지질구조에 대한 평가가 미비하여 보충조사를 실시했다"며 "그 결과 파쇄대의 최종연대는 제4기 이전의 것으로 판단돼 활동성 단층이 아닐 것으로 생각되나 최종 지질조사보고서로 확인돼야 할 것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