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공식적인 분류가 아니라서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플라스틱, 살충제 성분, 이산화질소, 메탄 등이 ... ...
- [과학뉴스] 케플러, 외계행성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우주망원경은 총 1284개의 새로운 외계 행성을 발견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 행성들 중 지구와 크기가 비슷한 것이 548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이 9개였지요.외계 행성 탐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2016년 말이면 활동이 끝나게 돼요. 미국 항공우주국은 외계 행성 탐사를 ...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여러 동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영양분을 순환시키지요.그러면 버섯은 대체 언제부터 지구상에 살았을까요? 버섯이 포함된 균류는 고생대부터 있었어요. 현재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오래된 균류 화석은 약 4억 4000만 년 전, 고생대 실루리아기의 것이랍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기둥에 갓이 달린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이용하는 동물들은 무척 다양해요. 철새와 연어, 바다거북 등이 대표적이지요. 꿀벌도 지구자기장을 감지해 비행 방향을 결정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답니다.인위적으로 세포가 자성을 띠게 만드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어요. 하버드대학교 의학대학 연구팀은 빵의 반죽을 부풀릴 때 사용하는 미생물인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결코 상대성이론을 만들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인 지구와 우주는 굽어 있다. 그것을 깨닫는 데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구부러진 세상Part 1. 이런 게 다 곡선?!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신기한 그림이 있습니다. 간단하게 보이는 그림은 사실 꽤 많은 정보를 담은 지도입니다.지구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지도라고 합니다. 무척 넓은 땅덩어리를 종이 한 장에 옮기려면 땅을 소인국처럼 작게 줄여야 합니다. 이 때, 실물을 어떤 비율로 줄였는지 나타내는 ... ...
- 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우주선 누가 될 것인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10월 11일 “민관 협력을 통해 우주 주거 시설을 개발하고 2030년대까지 화성에 지구인을 보내겠다”며 NASA와 스페이스X와의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이들의 협력이 가져올 미래의 모습은 어떨까. 2파트에서 확인해 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MARS 2025Part 1. 인류를 화성으로 이끌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호주연방과학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서호주 북부의 노스폴 지역이었다. 노스폴은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 화석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다.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 없는 붉은 길을 가로지르자 사방이 ...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이 있어요.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거예요. 1년에 전체의 약 0.01~0.1%에 해당하는 생물들이 멸종되고 있거든요. 과학적으로 분류된 200만 종만 따져 봐도 1년에 200~2000종이 사라지고 있는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특정 종에게 더 큰 관심을 쏟을 때, ‘분류학적 편견이 있다’고 표현해요. 예를 들어 지구상에는 양서류의 종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많지만, 포유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양서류보다 10배 이상 많아요.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