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처음"(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불렸지요. 1968년 미국 오하이오주 ‘노르웍’ 지방에서 발생한 장염에서 처음 발견되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Q. 생굴을 딱 하나 먹었을 뿐입니다. 그것만으로도 노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노로 바이러스는 20개 미만의 입자만으로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을만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가 치매도 일으킨다?2017.02.01
- 폐뿐만 아니라 뇌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 본격적인 연구결과는 2002년 처음 나왔다. 멕시코 국립아동연구소의 신경과학자 릴리안 칼데론-가르시두에뇰라스 박사(현재는 미 몬타나대 교수)팀과 미국, 캐나다 공동 연구자들은 대기오염으로 악명 높은 도시인 멕시코시티에서 사고로 죽은 ... ...
- [지뇽뇽의 色수다] (ep10) 학교에서도 성폭력이 일어난다2017.01.30
- 언급하기도 했다. ● 폭력과 차별에 저항해야 할 때 개인적으로는 어른들이 처음부터 남자 아이들의 때론 도를 넘는 장난들에 대해 ‘너를 좋아해서 그래’라는 식으로 분명한 ‘괴롭힘’을 괜찮은 것으로 포장해온 것부터가 문제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명백한 괴롭힘에 대해 사회가 ... ...
- [표지로읽는과학] 뜨거운 곳 좋아하는 박테리아, 열적응 메커니즘 밝혀져동아사이언스 l2017.01.22
- 때문입니다. 그럼 초록, 노랑, 주황색도 빛의 산란 현상 때문일까요? 아닙니다. 1969년 처음 이 온천에서 테르무스 아쿼티쿠스라는 호열성 박테리아가 발견됐습니다. 당시만 해도 과학자들은 ‘55℃ 이상에서 생명은 존재할 수 없다’고 믿고 있었는데, 이 사건으로 과학계가 발칵 뒤집어졌습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방전 사이클을 반복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충전 효율이 떨어진다. 필자 노트북도 처음엔 충전하면 한 열 시간은 썼는데 6년 가까이 지난 지금은 세 시간도 안 되는 것 같다. 결국 배터리 사용시간과 수명을 늘리려면 양극과 음극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널리 쓰이는 음극 소재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2017.01.04
- 1943년 펜실베이니아주 뉴캐슬에서 태어난 시세론은 이탈리아 이민 3세로 집안에서 처음으로 대학을 다녔다.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에 자극을 받은 시세론은 전기공학을 선택했고 1970년 일리노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시간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그는 동료 리처드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017년 행복하고 싶다면, 이렇게 해보자!2017.01.03
- 자존감 느끼기, 소속감 느끼기 등인데, 중요한 사실은 이 연구에서 이런 처치의 효과는 처음 행복도가 어땠는지와 상관 없이 행복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사람들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즉 행복해지는 건 불가능하거나 행복해져봤자 별볼일 없다고, 또는 심지어 행복한 건 이기적이고 ...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2
-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H5N6가 고양이를 감염시킨 것도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2014년 중국에서 H5N6가 유행하기 시작한 뒤 고양이를 감염시킨 적이 있었죠. 또, 2016년엔 고양이가 H7N2라는 다른 종류의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감염된 적도 있습니다. Q3. 그럼 고양이도 이제 ... ...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동아사이언스 l2016.12.31
- - (주)동아사이언스(이미지 소스:GIB) 제공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는 이야기는 처음 알게 된 터라, 서둘러 구글링을 시작했습니다. 오오, 그런데 웬일! 위키피디아에 ‘조류독감에 걸린 고양이(Avian influenza in cats)’라는 카테고리가 분류돼 있을 정도로 관련 분야에선 종종 일어나는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 펨토초레이저로 화학반응의 명장면을 포착한 화학자 아흐메드 즈웨일2016.12.27
- 보지는 못했다. 즈웨일은 펨토초 수준의 극도로 짧은 펄스를 낼 수 있는 레이저를 개발해 처음으로 반응의 중간생성물 구조를 파악하는데 성공했다. 이 업적으로 즈웨일은 1999년 노벨화학상을 단독 수상했다. 즈웨일은 1976년 가장 존경하는 화학자인 라이너스 폴링이 있는 칼텍의 교수가 돼서 무척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