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스페셜
"
처음
"(으)로 총 3,1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연구로 유명해졌지만 사실 뇌과학의 역사에서는 이보다 20년 앞서 1960년대 뇌의 가소성을
처음
실험적으로 규명한 연구자로 기록될 것이다. 즉 다이아몬드는 놀이기구 등 자극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활한 쥐가 자극이 빈약한 환경에서 자란 쥐에 비해 대뇌피질이 더 두껍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당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충제로 항암 효과도 얻는다?
2017.11.21
들어가 PAD2에 결합하면 ‘슈퍼 PAD2’가 돼 베타-카테닌에 대한 통제권을 되찾는다. NTZ가
처음
목표인 촌충 뿐 아니라 회충 같은 기생충은 물론이고 원충이나 바이러스 등에도 효과가 있는 이유는 이 분자가 다양한 단백질(효소)에 달라붙어 그 활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와포자충의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개체수가 빠른 멸종의 위험성을 높였다고 주장했다. 샤피로 교수는 “여행비둘기들은
처음
엔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하지만 모든 개체가 유전적으로 유사하게 되어 인간이나 환경의 위협 같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지뇽뇽의 사회심리]당신은 꼰대입니까?
2017.11.17
연구에 의하면 이미 너무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그 일에 지나치게 '익숙'해져버려서 이를
처음
겪는 사람들이 느낄 충격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험이 많을수록 자기 경험에 함몰되어 '그/그녀는 나와 다를 가능성’을 생각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경험이 많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크다는 뜻이다. 참가자들은
처음
6분 동안 문제풀이를 하면서 RG가 올라가는데 먼저 파란빛 방에서 휴식을 취한 그룹(G1. 파란선)이 백색광 방에서 쉰 그룹(G2. 검은선)에 비해 급격히 RG가 떨어짐을 알 수 있다(7분 지점). 위는 원 데이터이고 아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 쥐방울덩굴이라는 귀여운 이름의 식물의 어두운 면이
처음
드러난 건 199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91년 벨기에 브뤼셀의 한 자연요법 병원에서 체중감량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여성 두 명이 이듬해 급성 신부전증으로 신장이 완전히 망가져 투석을 받아야 하는 신세가 된 것.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
2017.10.22
구성원이 어느샌가 모임의 정신적 지주 같은 중요한 존재가 되는 걸 지켜본 경험이 있다.
처음
에는 리더의 자질이 있다고 생각하지 못한 친구지만 어느샌가 그 모임을 떠올리면 바로 그 친구가 생각날 정도로 모두에게 있어 중요한 존재가 되어있었다. 그러고 보면 외향성에는 ‘자극 추구성’같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로잔공대 미카엘 그라첼 교수에게 돌아갈 것 같다. 그라첼은 1991년 염료감응태양전지를
처음
만들었고 페로브스카이트전지 효율을 높이는데도 기여한 이 분야의 대가다. 사실 미야사카 교수도 염료감응전지의 새로운 유형으로 페로브스카이트전지를 만든 것이다. 결국 한 자리가 남아있는데 마지막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전 동해가 지금의 모습을 갖출 때까지 계속 에너지가 축적됐다는 것이다. 오 교수는 “
처음
인도와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생긴 에너지가 1500만 년 전 소진되기 시작하고 부분적으로 쪼개져 남아있는 에너지가 축적돼 여러지역에서 마그마 방을 형성한다” 며 “그 에너지가 임계점에 넘어서면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항생제로 치료가 된다. 앞서 잠깐 언급한 인체과립구성아나플라마증(HGA) 환자도 2014년
처음
국내에서 보고됐다. 앞으로 또 어떤 진드기 매개 질환이 등장할지 걱정이다. 필자는 아침저녁으로 천변을 산책하는데 요즘 들어 길을 횡단하는 쥐들이 부쩍 많이 눈에 띤다. 그래서인지 관리가 안 돼 풀과 ... ...
이전
263
264
265
266
267
268
269
270
2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