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BMW의 볼프강 슈트로블 박사는 “기존 가솔린 엔진을 기초로 한 채 엔진의 연료 분사
시스템
을 수소연료에 맞게 변형했다”며 “영하 250℃까지 냉각시킨 액화 수소를 미세노즐을 통해 분사함으로써 연소시키는 원리”라고 설명했다.이는 그동안 연료전지를 바탕으로 개발돼 왔던 수소 자동차와는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차량에 GPS를 이용한 차량항법장치가 달려 있다. GPS를 이용해 과속탐지기를 알려주는
시스템
도 운전자들에게 인기다. 자동차가 있는 지점을 위성이 추적해 가까이 있는 과속탐지기를 알려주는 것이다.자동차 뿐만이 아니다. 비행기, 선박 등은 GPS를 이용해 항로를 정하고 목적지를 찾아간다. 미국이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료를 통해 껍질의 재료가 되는 칼슘 등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현재 양계장
시스템
이 바로 이것이다.한편 다양한 교배를 통해 알을 많이 낳는 품종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탈리아 원산인 레그혼종이 대표적인 난용종으로 연간 산란수는 220∼250개다. 이 녀석들은 성질이 예민하고 알을 잘 ... ...
컴퓨터 그물망이 지능을 창조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여러 가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새로운 분야를개척하거나 현재
시스템
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를 돌파하는 것이므로 연구자들의 창의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송 교수는“우리나라 학생들은 스스로 사고하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며“토론을 통해 능동적으로 ... ...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프로젝트다. 현재 약 20여개의 하위 프로젝트가 연구팀별로 진행되고 있다.선반지능화
시스템
은 조리순서는 물론 적정 양념량까지 조리에 관한 모든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식재료의 포장지와 그릇, 양념통에까지 바코드나 비접촉식전자태그(RFID)를 붙인다. 아직까지 재료를 인식하는 수준인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 월경 등 갖가지 리듬이 있다 생물의 체내에서 진행되는 화학반응을 체외에서 이용하는
시스템
생물반응장치라고도 한다생물은 체내에서 각종 효소를 이용하여 음식을 분해 · 합성하는데, 그 분해나 합성반응은 모두 상온상압(常溫常壓)에서 이루어지며 우리 몸에 필요한 것을 효율적으로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뉴 사이언티스트’에 패스트푸드가 체내에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렙틴 호르몬의 분비
시스템
을 변화시켜 식욕 억제 작용을 어렵게 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이 때문에 패스트푸드가 별로 포만감을 주지 않으면서도 많은 열량을 섭취하게 해 이를 잘 모르는 사람에게 금방 살을 찌게 한다는 ... ...
종이로봇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예고한다. 자유자재로 모양을 바꾸며 날아다니거나 기어다니는 종이에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
(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기술로 만든 초박막 렌즈를 붙이면 종이정찰로봇으로 탈바꿈한다. 종이가 눈앞을 날아가는 것을 무심코 지나쳤다가는 큰 코를 다칠 수 있는 시대가 온다는 얘기다. 또한 ... ...
노화원인 '활성산소'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기능을 알아내 난치병 치료용 신약 개발의 길을 열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체
시스템
연구센터장 류성언 박사는 “세포 내에서 활성산소가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해 과학전문지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2월호에 발표한다”고 11월 15일 밝혔다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는 하이클리프 아파트(252m)는 수조의 물이 출렁거리는 것을 이용해 진동을 줄이는
시스템
이 설치돼 있다.초고층 건물이 성냥갑 형태에서 다양한 기하학적 모양을 갖게 되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만으로 바람의 영향을 측정하기가 어려워졌다. 요즘에는 초고층 건물을 일정 비율로 축소한 뒤 인공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