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시간마다 업데이트되므로 업데이트 주기를 세 시간 이상으로 설정해 구름 정보 제공처의
시스템
부하를 줄여야 정보를 계속 받는데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 ...
물 위 나는 대형 위그선 2009년 개발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009년까지 모두 12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위그선은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시스템
안전연구소가 10여년 간 연구해온 미래형 선박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 싱가포르 유럽 등에서 제조기술 특허까지 받았다.해양부는 위그선이 상용화되면 항공요금의 절반 수준으로 국내 연안과 중국 동부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쉬운 도시’ 프로젝트를 통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손쉽게 목적지에 갈 수 있는 안내
시스템
을 만들었다. 지도에 있는 주요건물은 투시도처럼 그려져 있어 건물의 형태를 숙지할 수 있다. 그뒤 전세계의 많은 도시들이 이런 디자인을 따랐음은 물론이다. 일본 디자이너 아즈미 신과 아즈미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평소 심장질환을 앓아온 여성 직장인 A씨는 몇달전 담당의사로부터 이색적인 제안을 받았다.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받아보면 어떠냐는 제안이었다. 외과전문의가 직접 ... 신체 부위를 절개하지 않고 원격 조종되는 초소형 로봇을 몸 안에 주입해 수술하는
시스템
도 한창 개발 중이다 ... ...
토성 오로라의 신비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공학자가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토성 오로라의 비밀을 밝혀냈다.연세대 사회환경
시스템
공학부 응용역학연구실 김주환 연구원은 “미국 보스턴대 존 클라크 교수 연구팀과 함께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영상을 분석해 토성 오로라의 특징을 알아냈다”고 2월 16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 ...
해양연, 해저 탐사 무인 잠수정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로써 앞으로 심해의 신비를 우리 기술로 파헤칠 수 있게 됐다.한국해양연구원 해양
시스템
안전연구소는 바다 밑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는 무인잠수정(ROV)을 최근 개발해 11월경 동해에서 시운전에 들어간다.이 무인잠수정은 로봇 팔과 다양한 센서가 달려 있어 깊은 바다 속에서 해양 생물을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기술이라고 판단하고 일찍부터 표준을 확정했다. 무선접속
시스템
규격으로 시분할복신(TDD)방식, 접속방식으로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A)이 채택됐다. 이 표준안은 휴대인터넷의 국제규격인 IEEE 802.16e표준으로 선정되면서 수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정부는 와이브로를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밑창과 정유회사인 엑손모바일과 시계업체 타이맥스가 출시한 시계형 전자 주유지불
시스템
도 성공 사례로 지목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3. 디자인이 매뉴얼 4. 디자인은 배려다 5.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상공에서는 인공위성이 낮은 궤도에 머물러도 태양풍의 피해를 입기 때문이다. 가끔 전자
시스템
에 문제가 생기기도 하고 우주비행사들이 해를 입기도 한다. 그래서 ‘남대서양 이상’이라는 말이 생겼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는 지자기가 약하다. 최근에는 ‘남대서양 이상’을 보이는 지역이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인도양에는 아무런 대비책이 없는 상태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1992년에도 쓰나미 경보
시스템
을 구축하는 문제를 논의했지만 경비 2백만달러(약 20억원)에 대한 승인이 나지 않아 백지화되기도 했다. 결국 이번 쓰나미는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는 뼈아픈 교훈을 남기고 있다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