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렁이의 비밀② 특별한 생존 능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발 밑을 눈여겨보지 않기 때문에 우릴 찾기 어려울 거네. 아는 만큼 보이는 법! 알고 보면 우리 지렁이들이 더욱 특별하게 느껴질 걸세.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렁이는 어떻게 전 세계를 차지했을까?지렁이가 기어가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꿈틀꿈틀, 느릿느릿 가는 모습을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늑대와 호랑이가 무서워서 피해다닌 것 때문에 목숨이 위태로워질 줄은 몰랐네요. 우리 가족은 물론이고 동화 나라 친구들에게 피해를 준 늑대와 호랑이를 혼내주고 싶지만! 죽게 내버려 둘 순 없으니 이렇게 나타났어요.”“어흐흑…! 정말 미안해요. 제가 어떻게 하면 죗값을 치를 수 있을까요?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만들다 발명된 콜라, 푸른곰팡이에서 찾아낸 항생제 페니실린처럼 우리 주변에는 우연한 계기로 발견된 발명품이 꽤 많이 있어요. 2013년, 오스트리아과학아카데미 매들린 랭커스터 박사도 줄기세포로 신경세포를 만드는 중 우연히 ‘뇌 오가노이드’를 만들었어요. 뇌 오가노이드는 다양한 신체 ...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10월 25일, 미국 퍼듀대학교 람세스 마티네스 교수팀이 카멜레온의 혀처럼 순식간에 벌레를 잡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 ... “보통 로봇은 무거운 소재로 만들어져 관성력을 많이 받고, 느리게 움직인다”며 “우리 연구가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가족 정원 구경해 보실래요?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자생식물이 살고 있는 두 개의 섬을 만든 뒤, 귀화식물들이 배를 타고 다른 나라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정원을 만들어 눈길을 끌었어요. 지그재그탐사단 팀의 조현서 대원은 엄마와 함께 만든 정원을 소개하며, “귀화식물과 자생식물이 함께 살아가는 정원을 표현하고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주고받으며 활동하지요. 이때 일어나는 전류를 기록한 것을 ‘뇌파*’라고 해요. 뇌파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에 따라 패턴이 달라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를 파악해 뇌 기능을 알아내고 있어요.지난해 6월, 영국 리처드 램처른 감독은 뇌파로 제어하는 영화 를 만들어 공개했어요. 영화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제공해주는 뇌은행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Q 뇌은행 운영에 어려움은 없나요?우리가 뇌를 모르는 만큼 연구가 더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뇌 연구 자원의 확보가 정말 중요합니다. 하지만 뇌는 피부처럼 뜯어서 수시로 검사할 수 있는 장기가 아니기 때문에 거의 사후 기증을 통해서만 뇌 ... ...
- 세계 최초 여성 우주인만의 유영 임무 완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메이어는 “지금까지 수많은 여성 과학자와 탐험가, 공학자, 우주인이 있었고, 우리는 그 발걸음을 따랐다”고 말했어요.여성끼리 우주유영을 한 것은 여성 우주인이 많아진 결과로 생긴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실제로 NASA의 짐 브라이든스틴 국장은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일을 하기에 적절한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빠른 개미, 사하라 은색 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유 교수팀은 우리 몸에 흡수된 열을 방출할 수 있는 털이 있단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우리 몸 표면엔 단면이 삼각형 모양인 털이 있는데, 이 털은 햇빛을 반사해 은색으로 보여. 또 이 털은 주위로부터 받은 열을 반사하고, 이미 흡수된 열은 방출하도록 도와준단다.사하라 사막에서 방향을 잃었다간 ... ...
- [Go! Go! 고고학자] 뼈로 삼국시대 사람을 되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인골을 잘 보존했어요. 이후 2012년 보존했던 고인골의 분류 작업과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는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새롭게 알게 되었지요. 그렇다면 고고학자들은 고인골로 무엇을 알아냈을까요? 뼈의 이야기를 들어라!먼저, 뼈의 생김새로 골격 주인의 성별과 키, 사망 당시의 나이 등을 추정할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