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2의 저주? 2문장에 함락된 오일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n=4이므로 오일러의 추측이 성립하지 않는다. 파킨와 렌더는 논문에 단 2문장만 적어 약 200년 간 묵혀있던 오일러 추측을 반증한다. 파킨과 렌더의 첫 반례가 나온 이후 k=5, n=4인 반례가 몇 차례 더 나오며, 오일러 추측은 완전히 뭉개져 버린다. 1986년에는 미국 수학자 노암 엘키스가 k=4일 때 ... ...
- [과학뉴스] 월드컵 우승국은 스페인? AI 예상 결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각국의 국제축구연맹(FIFA) 순위, 선수들의 평균 나이, 이전 챔피언스 리그 시즌의 선수 활약 등 팀의 경기능력과 선수 개개인의 능력에 대한 다량의 정보를 정리했다. 이후, 10만 회에 이르는 축구 경기 시뮬레이션을 통해 경우의 수를 따졌다. 팀 별로 각 라운드에서 생존할 확률은 물론, 가장 ...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지가 한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된다. 치사율이 90~100%에 이르러 25년간 호주와 중남미, 미국, 유럽 등지에서 양서류 약 200종이 멸종됐다.양서류, 나아가 생태계 전반을 위협하는 항아리곰팡이에 대해 그간 많은 연구가 진행됐지만 이 치명적인 병균이 어디서 시작됐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사실이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분(약 55%)의 비중이 더 높아 부드러운 질감을 줍니다. 만약 이 아이스크림을 영하 약 40도의 아이스크림 전용 냉동고에서 얼리면 수분의 동결률이 90%까지 높아지므로 치즈처럼 단단해집니다. 한편 액체질소를 이용해 영하 176도 정도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들면 벨벳처럼 부드러운 셔벗 형태가 ... ...
- [Culture] 천둥번개 치며 비 오는 날이 무서워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쉽게 생각할 문제는 아닙니다. 공포증을 자주 보이는 것이 아니라면 필요한 경우에만 약물을 복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하지만 진공청소기나 세탁기 등 여러 가지 생활 소음에 공포증을 보인다면, 민감성소실역조건화 행동치료와 함께 전문가에게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탁월한 능력을 갖춘 제로스는 현재 전북 고창, 군산 등의 국내 바다를 누비며 맹활약하고 있답니다. # 군집로봇이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는 걸 알겠지? 로봇 하나만 봤을 땐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우리가 모이면 슈퍼 로봇과 같은 일을 해낼 수 있다고! 앞으로도 군집로봇의 발전을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뜨겁게 만들어 줄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2012~2015년 포항 지역에서 지하 약 4.5km에 두 개의 시추공을 건설했다. 한 개의 시추공(주입정)을 통해 물을 주입한 뒤 주입된 물이 다른 하나의 시추공으로 흘러가는 과정에서 주위의 지열을 흡수해 뜨거워지면, 뜨거워진 물을 다른 시추공 ...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1] 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완료한 사례 중 가장 잘 알려진 시설은 벨기에의 ‘유로케믹(Eurochemic)’이다. 1990년부터 약 20년에 걸쳐 유럽연합(EU)에서 시범사업으로 지정해 해체를 진행했다. 길이 80m, 폭 27m, 높이 30m인 유로케믹은 영변 재처리 시설의 규모(길이 180m, 폭 20m, 높이 6층 건물)보다 훨씬 작다.재처리 시설은 방사능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교수는 “알파선을 이용하면 X선보다 10배가량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며 “특수약물을 섭취한 뒤 진행해야 하는 양전자단층촬영(PET)과 달리 체내에는 에너지만 흡수됐다 사라지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다”고 설명했다. 라온으로 생성한 다양한 희귀동위원소 빔의 분자생물학적 영향이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100km 두께의 단단한 암석이다. 그 아래로 100~400km 깊이에는 부분적으로 용융 상태인 ‘연약권’이 있다. 이에 따라 유동성이 생겨 맨틀에서 대류현상이 일어나고, 결국 판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판은 움직이는 방향과 속도(1~10cm/년), 밀도가 다르다. 이에 따라 발산형 경계, 수렴형 경계,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