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약"(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교수팀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화산지대인 ‘하라트 카이바르’에서 구글어스를 이용해 약 400개의 유적을 찾아냈어요. 돌로 쌓인 이 구조물은 길이가 91~487m로 다양하고, 빗장이 걸린 문처럼 생겨서 ‘게이츠’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연구팀은 “그동안 사우디아라비아는 문명의 불모지라고 ... ...
- [과학뉴스] 폭력범죄, 뇌 전기자극으로 예방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신체적 폭력을 저지를 확률이 약 47%, 성적 폭력을 저지를 확률이 약 70%나 낮았다.애드리안 레인 펜실베이니아대 범죄학, 정신의학, 심리학과 교수은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효과를 확실히 입증한다면, 향후 실제 범죄자들에게 이 치료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 [Career] ‘하버드 공대 공부벌레들’과의 2주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뜻이다. 태양전지에서 제대로 전기가 생산돼 해수배터리에 충전되는 중이라는 소리다. 약 1시간 뒤 MP3 플레이어를 연결했다. 노래 재생도 문제없이 성공했다.허다연 씨는 “최대 전압을 측정했을 때 느꼈던 성취감은 오랫동안 기억될 것 같다”고 말했다. 하버드대 공대 프리얀카 타파(컴퓨터과학과 ... ...
- [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음낭, 복벽이 한 데 붙은 덩어리를 수여자에게 접합했다. 덩어리의 크기는 가로세로가 약 25cm이고 무게는 2kg 가량 됐다. 음경 역시 복합조직이라 동맥과 정맥, 신경, 피부, 요도, 혈관 등을 각각 연결하는데 14시간이 걸렸다. 기증자의 유전물질이 수여자에게 전해질 것을 우려해 고환은 이식하지 ...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농도가 중요하다”고 밝했다. 문제는 PFHxS다. 매곡정수장에서는 PFHxS가 5월 21일 리터당 약 0.165μg 검출됐다. 이는 호주(0.07μg/L)보다 높지만 캐나다(0.6μg/L)와 스웨덴(0.9μg/L)보다는 낮은 수준이다(이후 6월 24일 0.343μg/L까지 증가했다). 환경부는 호주의 권고기준이 사람의 하루 섭취 허용량의 10%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등 유수의 학술지에 논문 200여 편을 발표했다. FRET은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의 약자로 두 종류의 형광 물질이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공명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생물 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수 나노미터(nm·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다.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그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배양 용액을 담고 쥐나 인간의 정자를 넣으면 정자들이 무작위로 움직이는데, 배양 용약을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면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정자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아래 '주변 액체의 흐름과 반대로 움직이는 정자'그림).doi:10.1016/j.cub.2013.02.007 정자가 고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1000km에 펼쳐져 있을 정도로 매우 두꺼워요. 하지만 지구의 중력에 의해 99.9%의 대기는 약 50km 안쪽에 밀집되어 있지요. 지구에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건 대기가 있기 때문이에요. 먼저 대기에는 산소가 있어서 생물이 호흡할 수 있어요. 또 대기는 해로운 우주 방사선과 운석 충돌 등을 막아준답니다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수학자인 것을 어떻게 생각하나요?아마 아무 생각 안 할 걸요? 아직 3살이거든요. 만약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면 수학자가 되라고 권할 겁니다.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하니까요. 같은 대수기하학자도 연구는 제각각!금 교수와 허 박사는 각각 대수복소기하학과 조합론 분야의 초청강연자로 2018 ... ...
- [과학뉴스] 소행성 2개, 지구 스쳐지나간 뒤에야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간 버스 크기의 소행성 2개가 지구를 스쳐지나갔다. 지구에 가장 근접했을 때 거리는 약 11만5000km로, 이는 지구와 달사이 거리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팔로마 천문대는 두 소행성이 지구를 지나간 지 몇 시간 뒤에 이들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7월 9일 홈페이지에 ... ...
이전2622632642652662672682692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