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독약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양치기 소년은 또다시 가져온 음료를 마신 뒤 말을 이어갔어요.“오후가 되자 마을 사람들이 간식을 가져다주었어요. 편의점 아주머니는 삶은 감자를, 목장 주인의 딸은 우유, 옆집 할아버지는 토마토를 주고 가셨죠. 그래서 맛있게 먹었는데, 그때부터 이가 빠질 것처럼 아프더라니까요! 제가 ... ...
- [시사과학] 얼굴만 보고 범죄자를 찾는다고? 과학자들, 얼굴인식 기술을 반대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학자들은 범죄자를 찾는 얼굴인식 기술이 미국의 인종 차별 문제를 증폭시키고, 나아가 사람들의 자유를 빼앗는 데 쓰일 수 있다고 우려한 거예요. 이에 대해 스프링어 네이처 측은 다음 날 이 논문을 출판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답니다. 대기업들도 얼굴인식 기술에 부정적! 얼굴인식 기술의 ... ...
- [출동!기자단] 쌀알이 살아있네~ 햇반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보관부터 도정, 선별, 포장까지 전 과정을 낱낱이 살펴보았어요. 스마트 팩토리에선 사람이 아닌 로봇이 데이터를 분석해 스스로 상품을 선별하고 제품을 만들어 눈길을 끌었어요. 음세인 독자 기자는 “햇반 뮤지엄을 여행하며, 평소에 먹는 식품 곳곳에 과학이 숨어있다는 걸 알게 됐다”고 ... ...
- [이달의 과학사] 8월 20일이 ‘세계 모기의 날’인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6호
- 몰려가는 장면을 발견했어요. 말라리아는 모기의 침샘에 모여있던 열원충이 피를 빨 때 사람에게 옮겨가면서 전염되는 거였죠. 이 연구로 수많은 목숨을 구하게 된 로널드 로스는 190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게 되었어요. 그가 말라리아의 감염 경로를 밝혀낸 8월 20일은 ‘세계 모기의 날’로 ... ...
- ‘항공샷’ 찍을 헬기, 날려도 됩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거였어요.먼저 화성의 중력은 지구의 37.6%예요. 지구에서 100kg인 사람이 화성에 가면 37.6kg으로 가벼워지지요. 이렇게 중력이 작으면 헬기가 뜨기 쉬워 보이지만, 문제는 화성의 대기압이 지구의 0.6%에 불과하다는 점이에요. 지구로 치면 3만m 높이의 건물 옥상에서 헬기를 ... ...
- [가상인터뷰] 달, 45억 살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평균 38만 4399km 떨어진 곳에 있는 위성이지. 난 정말 인기가 많아! 1960년대부터 사람들은 달을 탐사하기 위해 도전해 왔어. 그러다 1969년 7월, 아폴로 11호를 타고 온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남겼지. 이후 미국 우주인들은 6차례 더 우주선을 타고 달에 왔어. 달 표면을 탐험하고, ... ...
- [만화뉴스] 카메라를 등에 짊어진 딱정벌레가 바라본 세상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7월 15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시암 골라코타 교수팀은 곤충의 시선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초소형 무선 카메라 시스템을 개 ... 이상 살았지요. 골라코타 교수는 “앞으로 충전할 필요가 없도록 태양전지를 사용하고 사람이 탐색하기 어려운 곳을 탐험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화성님, ‘돌’ 좀 주워갈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계획대로 진행돼서 퍼시비어런스와 사람들의 이름이 화성에 잘 도착하면 좋겠군요. 퍼시비어런스는 화성에 도착하자마자 ‘돌’을 줍기 위해 이곳저곳 돌아다닌다고 해요. 이유가 뭘까요? 셜록과 왓슨,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다!퍼시비어런스가 생명체의 흔적을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새롭게 갖춘 ... ...
- 데이터에 예술을 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수 있도록 바꾸고, 해석은 보는 사람에게 맡기지요. 그래서 데이터 시각화 작업물은 보는 사람의 배경지식과 경험, 관점 등에 따라 다르게 이해할 수 있어요.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시각화하는 예술 작업이 늘고 있어요. 민 교수는 “인공지능이 우리가 만들어낸 ... ...
- [BOOK 소리] 용감한 어린이만 도전하라! 데블X의 수상한 책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질문들에 대한 답은 결국 스스로 찾아야 한다. 곰곰이 생각해 보고, 나를 잘 아는 가까운 사람들과 이야기 나눠보자. 생각과 마음이 훌쩍 커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착한 어린이는 가라! 용감한 어린이들이여, 데블X에 도전하라 ... ...
이전2662672682692702712722732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