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미
manh
mann
MAN
d라이브러리
"
만
"(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확인했다. 청백색의 빛이 저녁형 인간의 아침잠을 깨워 생체리듬을 아침형 인간처럼
만
드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제1저자인 최경아 연구교수는 “향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과 연계한 조명 조절시스템을 개발하면, 각자의 생활 패턴에 맞는 권장 수면 시간과 기상 시간을 유지하는 데 ... ...
스토브리그. 데이터를 보고 선수를 픽해라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야구인이나 데이터를 분석하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만
들 수 있다. 그러나 그 지표가 충분히 타당성이 있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납득해야 하니 주로 사용하는 스탯은 정해져 있다. 빌리 조가 눈여겨보는 스탯을 살짝 소개한다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최 교사로부터 나왔다. 왠지 어려운 기하학적 도형이나 복잡한 계산에
만
필요할 것 같지
만
, 오히려 최 교사는 지오지브라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라면 기본적인 문제를 푸는 데 써 보라고 제안한다. 교사와 학생 모두 조금 더 편리한 환경에서 주변을 수학적으로 탐구하며 관찰할 수 있길 바란다는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만
’에서 열렸어요. 1950년대까지 도살장과 벽돌공장, 쓰레기 처리장으로 쓰이다가 폐기물
만
남겨진 채 방치된 곳이었지요. 아무렇게나 버려진 폐기물 때문에 ‘다이옥신 마을’이라고 불릴 정도로 오염이 심각했답니다. 이에 시드니 당국은 올림픽 경기장을 짓기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토지 정화 ... ...
[과학뉴스] 10년
만
에 솔로 탈출한 멸종위기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지난 1월 16일, 전 세계에서 유일했던 세후엔카스 물개구리 수컷 ‘로미오’에게 드디어 여자친구가 생겼어요. 지난해 볼리비아의 생물학자들은 공개구혼 사이트에 로미오의 사연을 올려 많은 사람들의 후원을 받았어요. 덕분에 1년간 볼리비아 숲을 뒤져 3마리의 수컷과 2마리의 암컷을 찾았지요.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조직해 대중잡지 ‘과학조선’을 발간하고 전국적인 과학운동을 전개했다. 하지
만
안타깝게도 사람들은 이러한 조선인들의 과학 활동에 대해 잘 모른다. 일제의 과학에 압도당한 나머지 우리의 과학이 크게 가려진 면이 있었던 데다가, 그나마 이들 중 해방 직후 북으로 간 사람들의 업적에 ... ...
'오로봇'의 부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표본이 있다”며 “박물관에 갇혀있던 화석 표본들을 디지털화해 이들이 속속 빛을 보게
만
들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속도라면 이를 완수하기까지 약 50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이제 사건 현장의 온도에서 9도를 뺀 뒤, 여기에 시간을 곱한 값이 1536도가 되는 시점
만
역추적하면 된다. 곤충을 통해 사후경과 시간을 추정하는 최초의 사건이었다. 발견 직후 시체를 냉장 보관했기 때문에 시체 발견 시점인 6월 22일 정오부터 계산하면 된다. 이날 평균기온은 20.1도였다. 따라서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수 있어 진화적 연관성을 파악하기에 유리하다”며 “알파폴드가 1차원 아미노산 서열
만
으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할 수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서 한군섭 북한 리과대학 자연과학연구원 연구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구조정확도 평가 항목(로컬 부문)에 ...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
과학동아
l
2019년 03호
충돌해 원자핵이 분열되며 방사성 물질로 바뀐다. 이를 견디기 위해 주노를
만
들 때 강철
만
큼 단단하면서도 무게가 강철의 절반인 티타늄을 썼다.스티브 레빈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주노 프로젝트 연구원은 “주노는 완전히 새로운 목성을 우리에게 보여줬다”고 말했다. 주노가 수집한 목성의 ... ...
이전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