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으)로 총 1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다. 정전용량 방식의 경우 저항이 발목을 잡고 있다. 축전기를 화면 전체에 깔면 그만큼 저항이 커진다. 광학필름 방식은 디스플레이 전체에 광학필름을 배치할 경우 빛의 이동 통로를 설계하는 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안 박사는 “광학필름 방식이 대면적화에는 가장 불리할 것으로 예상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기 바랍니다. 이제 팔에 들어갈 모터의 스펙도 산정했으니, 다음 호에서는 다리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하늘에서 인공 별똥별이 쏟아져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매우 작은 만큼 우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 것”이라며 “인공 유성우를 만드는 인공위성도 계획에 따라 대기권으로 진입시켜 안전하게 처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율주행자동차와 드론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박 교수는 “각 기술의 운영 방식이 다른 만큼 자율복원 기술도 다르게 설계돼야 한다”며 “앞으로 운송 트럭 여러 대가 무인으로 운행되는 ‘군집자율주행’과 드론에 필요한 자율복원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보자! ※오일러 프로젝트란?2001년 수학과 프로그래밍 실력을 모두 키울 수 있도록 만든 수학 문제 웹사이트로, 수학 문제를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는 게 목적이다. 현재 600개 이상의 문제가 올라와 있으며, 2주에 1번씩 새로운 문제가 추가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를 한국어로 번역한 사이트도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가시광선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파장의 빛을 사용해 관측하는 간섭계는 망원경끼리 100m만 떨어져도 영상을 얻는 것이 매우 어렵다. 이런 차이 때문에 파장이 훨씬 긴 전파대역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높은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 또 한 가지 이유는 초대형 블랙홀 주변에서 싱크로트론 복사가 ... ...
- 디제잉하는 수학 '인싸'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하거든요. 돈을 얼마 버는 지에 상관없이 저는 수학자라는 직업과 음악을 즐기는 일에 만족합니 다. 무엇보다 즐기세요! 스페인 속담 ‘Nadie te quita lo bailado(누구도 춤추는 걸 막을 수 없다)’처럼 누군가 여러분에게 성적을 매길 수는 있어도 즐거움을 뺏 을 수는 없으니까요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시되어 있답니다. 올해는 여러분이 직접 이 사진전에 참여해 보는 건 어떨까요? 한국에만 있는 동물과 식물, 아름다운 풍경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지도 몰라요 ... ...
- Part 5. 작은 축제에서 찾아보는 올림픽의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물 사용량을 줄였어요. 화장실 용수와 샤워 부스를 빗물로 대체한 결과, 매해 수십 만 리터의 물을 절약하고 있답니다. 또 포르투갈 붐 페스티벌은 오염물질을 잡아먹는 미생물로 관객들이 쓰고 난 물을 정수해 한 번 더 사용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어요 ... ...
- [과학뉴스] 캥거루는 언제부터 껑충껑충 뛰게 됐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구팀은 발바닥 화석을 바탕으로 동물의 다리와 발목, 기타 뼈 모양 등을 설계해 모델로 만들어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캥거루의 먼 친척에 해당하는 종은 약 1억5000만 년 전 멸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화석은 200만 년 전 것으로, 유대류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 ...
이전2682692702712722732742752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