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격"(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맞고 자란 아이가 '사랑의 매' 더 신봉한다2017.10.28
- 짜증이나 화를 잘 냄, 이기적, 성미가 급함 등)을 측정했다. 그 결과 아이의 기본적인 성격, 건강상태, 성별, 양육자의 스트레스, 양육자의 정신건강 상태, 인종, 양육자의 나이, 교육 수준, 언어 능력, 소득, 가족 구성 등과 상관 없이 양육자의 체벌 빈도가 많을수록 아이의 공격적 성향이 높은 현상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실린 해설에서 “어른과 아이들은 물론 심지어 아기에서조차 끈기는 단순히 유전되는 성격 특성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사회적 맥락에 기반함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자녀가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기를 진정 바란다면 자녀에 대한 관심은 한 단계 낮추고 자신의 삶 자체를 좀 더 성실하게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우리는 하드코어한 사회적 동물이다. 단지 무리를 지어서 사는 것 이상으로 누군가의 칭찬 한 마디에 기분이 하늘로 올라갔다가 또 누군가의 비난 하나에 자존감이 출렁여 바닥으로 추락할 수 있는 동물이다. 사랑과 인정, 따듯한 인간관계를 갈구하고 헤어짐이나 따돌림에는 총 맞은 것 같은 쓰라 ... ...
- 힘들어도 쾌활한 척하면 정말 기분이 좋아질까2017.09.17
- 무시했다가 되려 해소되지 않은 감정을 오래 질질 끌고 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는 들어주지 않으면 쌓이지만 들어주면 금방 해소되는 감정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연구자들은 약 100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평소 자신의 ... ...
- 면접 전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2017.06.17
-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어떻게 하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을까?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나’, ‘내가’ 같은 1인칭 혼잣말보다 ‘XX야’라며 자신의 이름을 주어로 생각하는 3인칭 화법을 구사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라고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와 같다고 해서 ‘스크루지 이펙트’라고도 불리는 현상이다. 최근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자연 경관’이나 ‘광대한 우주’ 등을 통해서 경외감(awe)을 느낄 때도 자신은 생각보다 작은 존재였다며 작은 자아(small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2017.05.16
- 의식은 유교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일까. 아니면 기존 질서를 옹호하는 유교의 성격을 볼 때 공자 시대에 이미 상당한 남녀차별 사회가 성립된 것일까. 즉 유교는 이런 남녀차별을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해준 것일 뿐이란 말인가. 동주시대 식단의 변화와 남녀차별 심화의 연관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2017.04.26
- 않지만 여성커플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의 경우 이성커플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들과 성격이나 정체성 확립, 문제 행동 등에 있어 별반 차이가 없었다. 친구를 사귀는 등의 사회성에서도 역시 차이가 없었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동성커플이 좋은 양육자가 되기 어렵다는 이야기들은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그건 정말 나쁜 일일까? 2017.04.22
- 판에 작은 바퀴벌레가 한 마리 올라가 있을 경우 피자 전체를 내다버리기도 한다. 사람의 성격을 판단할 때도 그렇다. 원만하고 유능하고 유머러스한데 정직하지 않은 사람이라고 하는 등 어떤 사람을 설명하는 특성 10개 중 9개가 좋아도 한 개가 안 좋은 내용이라면 안 좋은 사람이라고 판단하는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반대로 일/학업에 대한 후회가 더 많다는 조사 결과도 있었다. 그런데 사회심리 및 성격 과학지(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후회의 빈도와 별개로 후회의 ‘강도’는, 성취나 일 관련 후회들에 비해 관계적 내용의 후회들이 대체로 더 강한 편이라고 한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