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성격"(으)로 총 3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 정보라도 친숙하면 사실이라 여기기 쉽다는 것이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혈액형 성격론’을 진지하게 믿고 있는 것 또한 어렸을 때부터 여기저기서 접해온 ‘친숙함’의 무서움을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비슷하게 많은 사람들이 어떤 정보를 사실으로 믿고 있는지의 여부 또한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돌이의 고향에서 남방큰돌고래 연구팀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07.11
- 남방큰돌고래는 주로 연안 1~2km안에서 생활한답니다. 귀엽게 생긴 외모 때문에 온순한 성격의 동물이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바다에서 최상위 포식자에 속하는 강한 동물이지요. 남방큰돌고래 무리의 사진을 찍고 있는 김미연 연구원. - 어린이과학동아 2018년 14호 제공 본격적으로 남방큰돌고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나누어 비교했다(Hills & Argyle, 2001). 그 결과 내향적인 사람들이나 외향적인 사람들 모두 성격 특성 중 ‘신경증(부정적 정서성 또는 정서적 불안정성)’이 낮을 때,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때,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시 여길 때, 자기 자신을 괜찮은 사람이라고 바라보고 있을 때 그렇지 않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무시할 수 없다. 흥미롭게도 둘의 공통적인 부작용이 수면장애다. 스타벅스는 커피의 성격을 기호식품에서 음료로 바꿔놓았고 이제 사람들은 시도 때도 없이 카페와 길거리에서 커피를 마신다. 즉 카페인 섭취량이 크게 는 것이다. 한편 밤늦도록 스마트폰에 매달리면서 코앞 디스플레이에서 나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식 얄팍할수록 자신감은 더 커진다2018.06.09
- 성향을 떠올렸을 때 자신과 비슷한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박학다식하고 성격도 좋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이라고 평가하는 반면, 반대되는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지식 수준이 낮고 뭘 잘 모르는 상태에서 선동당한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자신과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사사건건 스트레스를 받음 6) 일이 잘못됐을 때는 그걸 자신의 능력/자질 부족, 자기 성격이 이상한 탓이라며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임. 자신의 일거수일투족을 검열하며 평가하는 한 99가 괜찮아도 단 하나가 이상하다면 그 하나를 가지고 자신을 때리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완벽한 사람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2018.04.17
- 계속돼 수시로 허연 액체를 먹어 중화시켜야 했다. 게다가 의사 선생님이 “이미 위벽의 성격이 바뀌어서 나아도 재발하기 쉬울 것”이라는 불길한 얘길 했고 실제 지금까지 몇 차례 증상이 나타났다. 위액 수소이온농도는 맹물의 100만 배 그런데 밥을 먹고 난 뒤 위에서 일어나는 일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말이다. 자기 입증(self-verification)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성격, 지적능력, 장단점 등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피드백을 주는 사람들에게 더 큰 호감을 느끼는 경향을 보인다(Swann & Brooks, 2012). 한 가지 이유는 상대가 자신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스스로가 정확하다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성폭력 사건에서 가해자와 피해자 둘 중 어느 쪽에 더 공감하는지를 묻는 문항들이다. 성격 및 사회심리학지(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같은 성폭력 사건을 접해도 피해자의 입장에 더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가해자의 입장에 더 크게 공감하는 사람들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아주 피곤한 일이기 때문이다(Baumeister et al., 2007). 최근 사회 및 성격심리과학지(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서도 이러한 자기통제의 특징이 나타났다(Milyavskaya & Inzlicht, 2017). 연구자들은 학생들로하여금 이번 학기에 달성하고 싶은 목표(예, 성적을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