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지팡이
장대
지팡막대
스틱
지팽이
회초리
뉴스
"
막대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전기화학적 성질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① 특정파장의 빛을 흡수한
막대
형 금 나노입자가 광열전환반응을 통해 순간적으로 뜨거워진다. ② 뜨거워진 나노입자는 녹아서 반구(Hemisphere) 형태로 변형된다. ③ 그래핀 위에서 움직이기 시작하면서 나노크기의 구멍을 형성한다. - ... ...
여름방학 특집 ☞ 캠핑 사이언스 (下)
동아사이언스
l
2014.08.13
로켓 만들기' 제2편 '인공태양 만들기' 제3편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제4편 '나무
막대
투석기 만들기' 제5편 'CD 분광기 만들기' 제6편 '미니 정수기 만들기' 제7편 '여름방학 특집 ☞ 캠핑 사이언스 (上)'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해석 shipda@donga.com서영표 ... ...
여름방학 특집 ☞ 캠핑 사이언스 (上)
동아사이언스
l
2014.08.06
로켓 만들기' 제2편 '인공태양 만들기' 제3편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제4편 '나무
막대
투석기 만들기' 제5편 'CD 분광기 만들기' 제6편 '미니 정수기 만들기'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해석 shipda@donga.com 서영표 sypyo@donga ... ...
‘아르키메데스의 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8.01
황 교수의 ‘아르키메데스의 별’도 이렇게 탄생했다. 7점 모두 빨대 같은 플라스틱
막대
를 이용해 만들었고, 이들을 공 모양으로 이었다. 겉으로는 골격만 남은 공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공은 무수한 오각형으로 이뤄졌다. 황 교수는 팔면체를 이용해 만든 새로운 형태의 조형물 ... ...
영화 ‘혹성탈출’ 침팬지 vs 실제 침팬지
과학동아
l
2014.07.11
개미의 이동 속도에 맞춰 적합한 개미사냥도구를 선택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길쭉한
막대
를 개미굴에 넣어 찍어 먹는 반면 재빨리 움직이는 개미를 잡을 때는 그물처럼 넓적한 도구를 손바닥에 붙이고 사냥에 나선다. 이밖에 2010년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어린 암컷 침팬지가 여자아이처럼 ... ...
물만 뿌려도 음식물쓰레기가 싹~
과학동아
l
2014.06.20
좋아하는 온도인 20~25도로 유지하면서 20분 간격으로 물 300mL를 뿌렸다. 물을 뿌리고는
막대
로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3분씩 휘저어 산소를 공급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이렇게 분해돼 배출구로 나오는 물질이 하수를 오염시킬 우려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수소이온농도(pH)는 ... ...
속 빈 튜브에 햇빛을 가두다
과학동아
l
2014.06.19
형태의 실리콘 나노구조.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짧은 나노
막대
(SiNR-1), 긴 나노
막대
(SiNR-2), 나노튜브(SiNT), 나노콘(SiNC) 구조의 전자현미경 사진 - 광주과학기술원(GIST) ... ...
초딩이 만드는 착한 정수기
동아사이언스
l
2014.06.11
로켓 만들기' 제2편 '인공태양 만들기' 제3편 '정전기 방지제 만들기' 제4편 '나무
막대
투석기 만들기' 제5편 'CD 분광기 만들기' ◈ 책임프로듀서 김대공 방송기획팀장 scigong@donga.com ◈ 연출 이해석 shipda@donga.com 서영표 sypyo@donga.com ... ...
기말고사 치는 그대여, 에너지 음료 대신 숙면을!
과학동아
l
2014.06.10
못한 B그룹 생쥐의 수상돌기 소극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실제로 생쥐들을 다시 회전
막대
위에 올리자 A그룹 생쥐의 균형 감각이 더 우수했다. 연구를 주도한 원 비아오 간 교수는 “잠을 자는 동안 시냅스 연결이 활발해져 잠들기 전 학습했던 내용에 대한 기억력이 증진된 것”이라고 ... ...
‘마법의 렌즈’면 머리카락보다 625배 작아도 보여요
과학동아
l
2014.05.18
연구진이 이 렌즈를 통해 160n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 두 선을 관찰한 결과 각각의 선이
막대
모양으로 선명하게 구분돼 잘 보인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탄소나노튜브 하나하나가 모니터의 단위 픽셀처럼 작동해 이미지를 촬영한 셈이다. 160nm는 머리카락 굵기의 625분의 1 정도로 극도로 작다.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