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막대기
지팡이
장대
지팡막대
스틱
지팽이
회초리
뉴스
"
막대
"(으)로 총 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개 속에서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안경 나오나
2015.12.07
속에서도 산란된 빛을 잡아내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안경, 작은
막대
형태로 휴대할 수 있는 구명조끼, 음식물 쓰레기를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할 수 있는 고속발효 기술 등이 X-프로젝트 1차 과제에 선정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X-프로젝트 추진위원회 주관 하에 선정평가와 대국민 공개 검증 ... ...
겨울철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15.12.07
것만 150 종류… 백신 개발도 ‘아직’ 노로바이러스가 모여 있는 모습. 왼쪽 하단의 흰
막대
는 50nm를 뜻한다. - EPA 제공 노로 바이러스(NLVs)는 27~4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정도 되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입니다. 1968년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집단 발병한 뒤 세상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독감을 ... ...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5
‘윙윙’ 소리가 나는 원인도 카르만 소용돌이다. 볼텍스 블레이드리스사가 개발한
막대
형 풍력발전기 ‘볼텍스’는 바로 이 같은 공기 소용돌이의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다. 제품은 크게 두 부분으로 이뤄져 있다. 지지 기반이 되는 기둥이 있고, 그 위에 점점 지름이 커지는 ... ...
똑똑한 아이로 키우려면 웃으면서 가르쳐라
2015.09.08
수가 적은 만큼 웃음을 보였던 아이들이 본래 인지능력이 더 좋고 학습능력이 탁월해
막대
를 정확히 이용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인지와 정서(Cognition and Emotion)’ 5월 12일자에 실렸다.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노란 눈으로 그녀를 똑바로 마주보았다. 노란 눈 한가운데 작고 새까만
막대
가 수직으로 서 있었다. - 로알드 달, ‘정복왕 에드워드’에서 그림을 그리는 게 취미인 필자는 연초 양띠 해(을미년)를 맞아 양을 소재로 유화를 하나 그렸다. 그런데 양의 눈을 그리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양의 ... ...
맹점의 생리학
2015.09.01
시각을 완성한다. 위: 왼쪽 눈으로 오른쪽 검은 점을 응시하며 다가가면 왼쪽 빨간
막대
두 개가 연결돼 하나로 보인다. 아래: 마찬가지로 다가가면 왼쪽 바큇살이 중심까지 연장돼 한 점에 수렴한다.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 실험실’에 나온 그림을 약간 변형했다. - 강석기 제공 라마찬드라 ... ...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08.31
전선이 둘둘 말려있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십(+)자 형태로 놓여 있는 구조였다. 두 개의
막대
를 이용한 방식이라고 해서 ‘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이라고 부른다. 실제로 무선충전되는 것을 확인하고 싶다고 요청하자 임 교수가 코일 위로 검고 평평한 뚜껑을 씌웠다. 무선충전테이블이 만들어진 ... ...
원하는 모양대로 만들 수 있는 신개념 리튬전지 개발
2015.08.11
더 많은 용량이 필요하면 넓은 면적에 입히거나 층층이 만들면 된다. 실험 결과 지름 5㎜
막대
위에 반복해 감은 경우에도 성능이 유지됐으며 안정성 역시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뛰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이 교수는 “사물인터넷 상용화이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공간의 확보”라며 “일상생활에서 ... ...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처럼 가상현실 조종
2015.08.05
속에 쌓여 있는 나무토막 하나가 밀려 떨어졌다. 곧이어 화면 속에 있는 다른 사람도
막대
를 하나 밀어냈다. 일명 ‘가상현실 젠가’ 게임이다. 이들은 서로 다른 공간에서 가상현실에 접속해 게임을 즐기는 중이다. 박정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은 가상현실 속 물체를 실제처럼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얻은 봉한관(왼쪽)과 김봉한 박사의 논문에 나온 봉한관(오른쪽). 두 가지 모두 긴
막대
모양의 핵이 관찰된다. - 서울대 한의학물리연구실 제공 제공 하지만 글을 읽으면서 내내 1965년 북한에서 연구가 갑자기 중단된 뒤 왜 한 세대 동안이나 잊힌 채 방치돼 왔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