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편
d라이브러리
"
짧은글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쾌적한 조명환경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좋은 공기나 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조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사람은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나서부터 죽어서 무덤속에 들어갈 때까지 빛과 함께 산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심지어 앞을 못보는 장님이라 할지라도 마음속에 등불을 켜놓고 그것 ... ...
한글인식시스템의 현단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컴퓨터가 스스로 신문이나 책을 읽는다. 현재 인쇄체의 경우 95%의 인식률, 그러나 필기체는 인식수준이 떨어진다.키보드를 두드리지 않고 컴퓨터가 한글을 이해하게 할 수는 없을까? 만약 신문을 그대로 컴퓨터에 입력시킬 수 있다면…또는 손으로 쓴 필기체 자료를 그대로 컴퓨터의 데이터 파일 ... ...
ASIC 미래의 반도체를 주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메모리분야에 치우친 국내반도체산업이 ASIC에 대한 집중투자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반도체가 이용되는 모든 첨단제품에 필수적인 ASIC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흔히 주문형 반도체라 불리우는 ASIC의 정확한 명칭은 특정 용도용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이다. 이것은 어떤 특정한 ... ...
물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만원짜리 지폐를 보라. 거기에 그려진 물시계가 16세기의 자격루 유물이다. 관노에서 종6품이 된 세종시절 과학자인 장영실의 자격루를 개량한 것이다. 1434년(세종16년) 7월1일(음력). 조선왕조는 새로운 국가 표준시계를 공식으로 쓰기 시작했다. 보루각(報漏閣)의 자격루(自擊漏)라 불리운 자동물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이 글은 지난 5월26일 서울대 조선공학과 학생회 주최로 열린 「한국조선공업의 발전을 위한 당면과제」심포지엄에서 발표된 내용 가운데 주제발표자의 한사람이었던 강성진군의 조선산업에 관련된 내용만을 발췌, 재정리한 것이다.조선산업은 이제 사양길에 접어들었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엄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중세까지만 해도 서양보다 앞선 면이 많았던 동양의 과학이 뒤쳐지게 된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최근 들어 과학이 야기하는 많은 문제점들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현대과학에 대한 비판적인 생각이 커져 가고 있다. 그리고 현대과학이 원래 서양에서 유래한 것이었다는 인식으로부터 탈피, 서양 이외 ... ...
발명왕이 되는 10계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제2 에디슨'의 길은 가까운데 있다. 새롭고 실용적이고 날개돋친 듯 팔릴수 있는 발명품을 만들려면… 더해 보자수학에서는 '1+1=2' 또는 '1+2=3'등 답은 하나뿐이고, 또 정확하다. 그러나 발명에서는 다르다 '1+1'의 답이 1백일 수도 있고, 1천일 수도 있다.발명의 기법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이 바로 이 ' ... ...
생명의 신비에 도전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생화학자의 꿈을 포기하고 타의에 의해 의대생이 되었다. 한때는 절망에 빠져 재수를 생각하기도 했으나…선생님 몰래 소설책을 읽다가 들켜서 혼나던 일, 매주 일요일마다 공부한다고 집을 나와서 학교운동장에서 친구들과 하루종일 농구하던 일, 밤늦게 하는 자율학습 시간에 만화책을 빌려와서 ... ...
대폭발(BigBang)과 「거품」이론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우리가 볼 수조차 없는 '다른 우주'가 과연 있을까? '우리 우주'가 하나의 '거품'에 불과하다고 보는 인플레이션이론에 따르면 그 존재가능성은 충분하다. 그렇다면 '상상의 우주'는 어떻게 생겨났으며 '우리 우주'와는 얼마나 다를까? 또한 우리 우주와 다른 우주가 만날 확률은? 다음은 이에 관한 최 ... ...
서독「막스 플랑크」분말야금 연구소를 보고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필자는 85년 7월 한국―독일 공동연구 프로그램 가운데 하나인 구조용 세라믹스 개발 과제에 참여하여 1년동안 남부 독일의 공업도시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분말야금 연구소에서 일했다. 필자는 우리나라 정부 출연연구소를 막스플랑크연구소와 비교함으로써 우리 연구소가 개선해야 할 점을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