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편
d라이브러리
"
짧은글
"(으)로 총 273건 검색되었습니다.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미국 페르미연구소의 CDF그룹은 10억번의 충돌실험 끝에 톱쿼크일 가능성이 높은 10번의 증거를 포착했다. 지난 17년동안 입자물리학자들이 찾아 헤매던 마지막 남은 소립자 톱쿼크는 과연 발견될 것인가. 앞으로의 연구성과를 주목해본다.자연에 네가지의 힘, 즉 중력 전자기력 강력(强力) 약력(弱力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지난호에 별빛을 모두 합치면 태양빛 만큼 밝아서 밤하늘이 밝아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실제의 밤하늘은 어둡다는 사실이 올버스의 역설이라는 설명을 했다. 이 글이 나가고 독자로부터 많은 전화를 받았지만 대부분은 논리가 부족한 주장이었다. 그러나 우주의 크기가 무한하지 않고 유한하기 ... ...
수치로 비교분석한 한국·일본 여대생의 평균 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나는 얼굴을 연구하면서 개인간 국적간에 그 차이가 의외로 크지 않은 데 놀랐다. 얼굴의 생김새가 각각 가진 유전자 또는 유전자 조합의 반영이라면 거꾸로 얼굴을 통해 그 사람 가족 사회의 유전적 특질을 찾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한 15년쯤 전이 일이다. 일본인들이 우리나라에 단체로 관광을 와 ... ...
(2) '블랙홀은 검지 않다'-은하 밝기 맞먹는 거대한 에너지 방출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태양질량의 1백만배가 넘는 거대블랙홀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은하전체의 밝기로 빛나면서 숨바꼭질하는 이 괴물 천체가 거대 블랙홀이라고 추정된다.이제 블랙홀(black hole)은 국민학교 고학년만 되어도 모두 알 정도로 유명한 말이 되어버렸다. 이는 곧 블랙홀이 현대과학에서 가장 주목되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패트리어트는 걸프전에서 이라크의 스커드 지대지 미사일에 대한 우수한 요격능력을 과시해 미국의 자존심을 지켜준 지대공 요격미사일이다.미사일(Missile)의 기원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이 영국을 공격할 때 사용해 극심한 피해를 입힌 V2로켓이다. V2는 미사일이 아닌 로켓으로 분류되지만 원 ... ...
한국호랑이의 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서울대공원에서는 중국으로부터 백두산호랑이 한 쌍을 들여올 계획인데, 중국쪽 백두산에서 잡은 것이거나 그 후예라면 우리 국토의 최근 거리에서 얻은 개체란 것만으로도 반가운 일이다. 호랑이는 생존지역 접경을 넘나들며 살기 때문이다.약4천3백만년 전(제3기 시신세)에 번영해 있던 미아키스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상대성이론, 광양자가설 등으로 20세기 과학계를 대표하는 알버트 아인슈타인. 그를 빼놓고는 현대물리학을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아인슈타인의 존재는 크고도 뚜렷하다. 그에 얽힌 5가지 궁금한 점을 '과학 아사히'에서 전재한다.1. 어릴 때는 왜 열등생이었나아인슈타인(Einstein, Albert)은 1879년 3월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광학계나 가대가 단단하다고 천체 관측이 100%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대기의 상태나 부가장치에 따라 천차만별의 관측 결과가 나타난다.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천체망원경은 컴퓨터와 함께 가지고 싶은 것 순위의 상위를 항상 지키고 있다고 한다.사람들은 누구나 밤하늘을 수놓고 있는 수많 ... ...
3 기후와 토양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기후와 토양은 바늘과 실의 관계. 기온과 수분양은 전혀 다른 흙을 만들어 낸다.세계의 곳곳을 여행하거나 영상매체를 통해 이국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늘어나면서, 이제는 '아마존'하면 수목으로 빽빽이 들어찬 열대우림의 정글을, '케냐'하면 얼룩말과 기린이 풀을 뜯고 있는 사바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현대우주론의 대표주자는 당연히 대폭발이론이다. 그러나 이 이론이 우주의 생성을 설명하고 그 끝을 예견하는데 완벽하다고는 볼 수 없다. 현재 우주론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 앞으로 우주론에 도전하고 싶은 젊은이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는 과연 무엇일까?우리가 사는 우주는 어떻게 탄생했을 ... ...
이전
18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